출처 : 백준 #1009
|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
| 1초 | 128MB |
재용이는 최신 컴퓨터 10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재용이는 많은 데이터를 처리해야 될 일이 생겨서 각 컴퓨터에 1번부터 10번까지의 번호를 부여하고, 10대의 컴퓨터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들을 처리하기로 하였다.
1번 데이터는 1번 컴퓨터, 2번 데이터는 2번 컴퓨터, 3번 데이터는 3번 컴퓨터, ... ,
10번 데이터는 10번 컴퓨터, 11번 데이터는 1번 컴퓨터, 12번 데이터는 2번 컴퓨터, ...
총 데이터의 개수는 항상 ab개의 형태로 주어진다. 재용이는 문득 마지막 데이터가 처리될 컴퓨터의 번호가 궁금해졌다. 이를 수행해주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 그 다음 줄부터 각각의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 (1 ≤ a < 100, 1 ≤ b < 1,000,000)
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마지막 데이터가 처리되는 컴퓨터의 번호를 출력한다.
5
1 6
3 7
6 2
7 100
9 635
1
7
6
1
9
square 메서드를 통해 제곱을 구현하였다. 단, 다른 점은 데이터의 크기가 너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for문을 돌때마다 10으로 나눈 나머지로 값을 대체하였다. (어차피 10대의 컴퓨터에 분산하여 저장하면 되므로)square 메서드를 통해 나온 수가 0이라면, 10번째 컴퓨터에 분산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따로 분기처리 하였다.number가 0이 아닐 때는 굳이 10으로 다시 %연산을 하지 않아도 됐는데, 중복하여 계산이 되었다. 다음에는 이 부분을 신경쓸 수 있도록 해야겠다.// 백준 1009번 분산처리
package algorithm;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DistributedProcess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testcase = sc.nextInt();
int a, b, number;
sc.nextLine();
for (int i = 0; i < testcase; i++) {
a = sc.nextInt();
b = sc.nextInt();
number = square(a, b);
if (number == 0){
System.out.println(10);
} else {
System.out.println(number%10);
}
}
}
private static int square(int root, int power) {
int number = 1;
for(int i=0; i < power; i++){
number *= root;
number %= 10; // int 자료형의 범위를 넘어갈 것을 대비하여 미리 나눠줌.
}
return numb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