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백준 #1931
시간 제한 | 메모리 제한 |
---|---|
2초 | 128MB |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 I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찾아보자. 단, 회의는 한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같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시작 시간과 끝나는 시간은 231-1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다.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11
1 4
3 5
0 6
5 7
3 8
5 9
6 10
8 11
8 12
2 13
12 14
4
이번 문제에서 lambda
를 썼는데, 처음에 1번째 원소로만 정렬을 하였다가 자꾸 틀렸다.
이유를 모르다가 결국 람다식의 조건 중 0번째 원소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람다식은 되게 유용하지만 익숙치않아서 항상 찾아보았는데, 이번 문제를 계기로 머릿속에 담아두어야겠다.
# 백준 1931번
import sys
def conference(n, time):
# 회의 시간이 가장 빨리 끝나는 순으로 정렬한다.
newList = sorted(time, key = lambda x : x[1], x[0] ) # 람다로 두 번째 원소 기준 정렬하기(잘 익혀두자..)
finishTime = newList[0][1]
sumNum = 1
for i in range(1, n):
if newList[i][0] >= finishTime: # 다음 올 회의의 시작시간이, 이전 회의의 끝나는 시간보다 같거나 클 때
finishTime = newList[i][1]
sumNum += 1
return sumNum
n = int(sys.stdin.readline())
time = []
for i in range(n):
time.append(tuple(map(int, sys.stdin.readline().split())))
print(conference(n,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