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4503. 로봇 청소기

nayoon·2021년 7월 1일
1

Algorithm

목록 보기
52/55

문제

로봇 청소기가 주어졌을 때, 청소하는 영역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장소는 N×M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1크기의 정사각형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칸은 벽 또는 빈 칸이다. 청소기는 바라보는 방향이 있으며, 이 방향은 동, 서, 남, 북중 하나이다. 지도의 각 칸은 (r, c)로 나타낼 수 있고, r은 북쪽으로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 c는 서쪽으로 부터 떨어진 칸의 개수이다.

로봇 청소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1.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2.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a.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b.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c.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에는, 바라보는 방향을 유지한 채로 한 칸 후진을 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d. 네 방향 모두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이면서, 뒤쪽 방향이 벽이라 후진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작동을 멈춘다.

로봇 청소기는 이미 청소되어있는 칸을 또 청소하지 않으며, 벽을 통과할 수 없다.

입력

첫째 줄에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3 ≤ N, M ≤ 50)

둘째 줄에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좌표 (r, c)와 바라보는 방향 d가 주어진다. d가 0인 경우에는 북쪽을, 1인 경우에는 동쪽을, 2인 경우에는 남쪽을, 3인 경우에는 서쪽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셋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장소의 상태가 북쪽부터 남쪽 순서대로, 각 줄은 서쪽부터 동쪽 순서대로 주어진다. 빈 칸은 0, 벽은 1로 주어진다. 지도의 첫 행, 마지막 행, 첫 열, 마지막 열에 있는 모든 칸은 벽이다.

로봇 청소기가 있는 칸의 상태는 항상 빈 칸이다.

출력

로봇 청소기가 청소하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제출 코드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n, m = map(int, input().split())

r, c, d = map(int, input().split())

table = [list(map(int, input().split())) for _ in range(n)]
vaccuum_area = 0
# north: 0, east: 1, south: 2, west: 3
dx = [-1, 0, 1, 0]
dy = [0, 1, 0, -1]

def dfs(x, y, d, w):
    global vaccuum_area

    if w == 4:
        _x = x - dx[d]
        _y = y - dy[d]
        if 0 <= _x < n and 0 <= _y < m and table[_x][_y] != 1:
            dfs(_x, _y, d, 0)
        return

    # 현재 위치에서 현재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방향부터 차례대로 탐색을 진행한다.
    # 왼쪽 방향
    dd = d - 1
    if dd == -1: dd = 3
    _x = x + dx[dd]
    _y = y + dy[dd]
    if 0 <= _x < n and 0 <= _y < m:
        # a. 왼쪽 방향에 아직 청소하지 않은 공간이 존재한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한 다음 한 칸을 전진하고 1번부터 진행한다.
        if table[_x][_y] == 0:
            # 현재 위치를 청소한다.
            table[_x][_y] = 2
            vaccuum_area += 1
            dfs(_x, _y, dd, 0)
    
        # b.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청소할 공간이 없다 =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
        else:
            # 방향만 바뀐다.
            dfs(x, y, dd, w + 1)

# 로봇 청소기 최초 위치
table[r][c] = 2
vaccuum_area += 1
dfs(r, c, d, 0)

print(vaccuum_area)

문제에 나와있는 그대로 구현했다.

신경써야할 포인트가 몇 가지 있다.

1.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

지문 그대로 구현하게 될 경우 로봇 청소기의 움직임은 아래의 세 가지이다.

- 전진
- 후진
- 왼쪽으로 회전

전진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north: 0, east: 1, south: 2, west: 3
dx = [-1, 0, 1, 0]
dy = [0, 1, 0, -1]

후진은 전진에 -1 만 곱하면 된다.

# north
# 전진
# dx[0], dy[0] = -1, 0
# 후진
# dx[0] * -1, dy[0] * -1 = 1, 0

왼쪽으로 회전은 방향값에 -1을 해주면 되는데, north의 경우는 -1을 해줄 경우 0 - 1 = -1 이기 때문에 3으로 저장한다.

# 왼쪽 방향
dd = d - 1
if dd == -1: dd = 3

2. 네 방향이 이미 청소가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

지문 그대로 구현하게 되면 '네 방향이 이미 청소가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를 구현하게 될 때' 조건을 어쩌지..? 하는 생각이 든다.

생각한 방법은 '청소할 공간이 없을 경우'를 체크하는 것이다.

함수 파라미터를 추가해서 구현하는 것말고는 방법이 없어서 이 방식을 선택했지만 좀 구리당..

# b. 왼쪽 방향에 청소할 공간이 없다면, 그 방향으로 회전하고 2번으로 돌아간다.
        # 청소할 공간이 없다 = 청소가 이미 되어있거나 벽인 경우
        else:
            # 방향만 바뀐다.
            dfs(x, y, dd, w + 1) #************* 이 부분!

청소할 공간이 없을 경우 왼쪽 방향으로 계속 돌게 되는데, 이때 w 값을 하나씩 높여준다.

그리고 네 방향 모두 청소할 공간이 없을 경우가 되었을 때 다음이 실행된다.

  if w == 4:
  	# 후진 코드
        _x = x - dx[d]
        _y = y - dy[d]
        if 0 <= _x < n and 0 <= _y < m and table[_x][_y] != 1:
            dfs(_x, _y, d, 0)
        return

이렇게 하면 네 방향 모두 청소할 공간이 없고 바로 뒤가 벽이 아닐 때 후진할 수 있다.

3. 바운더리 체크

기본이긴 해도 로봇 청소기가 주어진 공간을 뚫고 나갈 수는 없으니까..

profile
뚜벅뚜벅 열심히 공부하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