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커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격리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주로 서버에 사용됩니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는 있지만 현재로써는 서버에서 사용하는 것이 주 용도입니다.개인용 컴퓨터나 서버에는 여

컨테이너를 다루는 모든 명령은 'docker 명령어'로 시작합니다.docker 명령어 뒤에 오는 부분을 '커맨드'라고 합니다.커맨드는 상위커맨드(무엇을)와 하위커맨드(어떻게)로 구성됩니다.'대상 '에는 컨테이너명 또는 이미지명 등 구체적인 이름이 들어갑니다.docker

뭐든지 기초 개념과 동작원리를 알아야 그 분야에 대해 이해가 잘 됩거니다. 마찬가지로, 저는도커를 공부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동작원리라 생각합니다. 도커의 동작원리를 모른다면 아무리 삽질하고, 따라한다 해도 이해하지 못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도커와 컨테이

도커 설치하는 부분은 다음주에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도커 엔진은 도커 설치와 함께 실행됩니다. 계속 동작 상태로 남아 있지만 컨테이너를 실행 중이 아니라면 컴퓨터의 리소스를 거의 차지하지 않으므로 문제가 없습니다!! 원래 서버는 24시간 365일 항상 가동됩니다.

이번 포스팅은 스프링부트를 gradle build tool을 이용하여 docker를 빌드후 AWS EC2에 띄워서배포하는 것을 해보았습니다!연습을 하기전 RucidChart에서 한번 차트를 그려보았습니다.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1\. 인텔리제이의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만

요즘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면서 도커파일 작성에 대한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컨테이너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연습을 하면서 직접 jar파일을 뽑아서 도커 이미지를 띄워보겠습니다.프로젝트를 생성했다면 test컨트롤러를 하나 만들어줍니다.build.gradle 파일에 아래 코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