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 Tuning이란?

City_Duck·2023년 5월 25일
12

NLP

목록 보기
4/7

Instruction Tuning이란 구글의 FLAN(Finetuned Language Models are Zero-Shot Learners) 논문에서 처음 나온 개념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LLM 모델을 Instruction 데이터셋을 통해 fine-tuning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zero-shot 성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이를 알아보기 전에 LLM의 발전 순서를 알면 좋기에 이를 먼저 소개하고자 합니다.
참고 : Natural Language Processing with Deep Learning CS224N/Ling284

  1. Zero-Shot and Few-Shot In-Context Learning
  2. Instruction tuning
  3.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RLHF)

1. Zero-Shot and Few-Shot In-Context Learning

2018년 OpenAI는 GPT를 발표합니다.
이 때 GPT는 12개의 Transformer Decoder layers와 7000개가 넘는 책(4.6GB)을 통해 학습을 하였습니다.

이는 모델의 크기가 Pretrained Model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라는 시사점을 내보였습니다.

이후 2019년 OpenAI는 GPT-2를 발표합니다.
기존 GPT와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같은 아키텍처를 사용하지만 파라미터가 117M -> 1.5B로 크게 증가합니다.
학습데이터 또한 4GB -> 40GB(Reddit 수집)으로 크게 증가합니다.

GPT-2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Zero-shot, Few-shot learning입니다.
GPT-2는 Task에 따른 Fine tuning 없이 기존 Task의 SOTA 모델들을 넘어섭니다.
ㄴㄴ

이를 통해 잘 학습된 LLM 모델 하나로 모든 Task를 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임팩트를 남깁니다.

이후 2020년 OpenAI는 GPT-3를 발표합니다.
GPT-3 또한 파라미터와 데이터를 크게 늘렸습니다.
파라미터는 1.5B -> 175B, 데이터는 40GB -> over 600GB로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GPT-3는 다음 그림과 같이 풀고자 하는 문제를 제시하기 이전에 여러 예시를 제시하여 문제의 Task를 특정합니다.
ㄴㄴ
이는 새로운 Task를 배울 때 가중치 업데이트가 일어나지 않는 점에서 "in-context learning" 라고도 불립니다.

ㄹㄹ
예시마다 가중치가 업데이트 되던 기존 방식과 다르게 이러한 "in-context learning"의 발견으로 인해 Prompt에 대한 중요성 또한 대두되었습니다.

하지만 해당 방식의 한계점 또한 존재합니다.
바로 여러 스텝을 거쳐야 풀 수 있는 문제들과 같이 Prompt만으로 배우기 어려운 문제들입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Chain-of-Thought Prompting 방식이 등장합니다.
ㄴㄴㄴ

해당 방식에서는 A.에 해결 방식을 step by step으로 제시함으로써 Model의 Prompt 이해도를 높입니다.
ㄹㄹ
Model의 크기가 클 때 Chain-of-thought를 적용하면 지도학습 성능을 따라가는 양상을 보여줍니다.

여기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간 방식이 "Zero-shot chain-of-thought prompting"입니다.
이는 기존의 step by step 제시를 LLM inference 결과로 대체합니다.

ㄴㄴ
그 결과 다음과 같이 큰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ㄴㄴ
CoT를 유도하는 prompting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더욱 다양한 prompt에 대한 정보는 다음 링크에서 볼 수 있습니다. ChatGPT Prompt Engineering for Developers
ㅁㅁ

Zero-Shot and Few-Shot In-Context Learning 정리

  • 장점
    • fine-tuning 없이 Prompt Engineering 만으로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한계
    • Limits to what you can fit in context
    • Complex tasks will probably need gradient steps

2. Instruction finetuning

Instruction finetuning 등장 배경의 메인 키워드는 "Aligning"입니다.
이는 다음에 소개할 RLHF에도 등장하는 메인 키워드입니다.

Aligning을 잘 보여주는 예시가 있습니다.
우리는 달 착륙에 대해 질문을 하면 다음과 같은 답변을 원합니다.
ㄴ
하지만 GPT-3는 다음과 같은 결과값을 반환합니다.
ㄷ

이는 LM이 user의 의도는 다른 답변을 주는 문제점을 의미합니다.

그렇기에 이를 finetuning으로 해결하는 방법이 Instruction finetuning입니다.

ㄴ

이는 위 그림과 같이 Instruction, output의 pairs 데이터셋을 통해 학습을 진행합니다.
이 때 해당 데이터셋에는 다양한 종류의 Task가 instruction 형태로 들어 있습니다.

ㄴㄴ

이와 같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방법을 통해 꽤 높은 성능 향상을 이끌 수 있습니다.
또한 Adapter를 활용하여 Task별 관련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해당 링크를 통해 예시들을 더 볼 수 있습니다. Instruction Tuning with FLAN

하지만 해당 방식 또한 단점이 존재합니다.

  1. Task가 다양하기에 성능을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합니다.
  2. open-ended 문제에 대한 채점 기준이 애매모호합니다.
  3. 단어 실수에 따른 완성도의 영향이 단어마다 다르지만 모든 실수가 똑같은 실수로 여겨집니다.
  4. 여전히 우리가 원하는 만큼의 완성도를 만들지 못합니다.

Instruction finetuning 정리

  • 장점
    • Simple and straightforward, generalize to unseen tasks
  • 단점
    • Collecting demonstrations for so many tasks is expensive
    • Mismatch between LM objective and human preferences

Mismatch between LM objective and human preferences 해당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RLHF가 발표됩니다.

이는 이어지는 RLHF 포스팅에서 설명하고자합니다.

profile
AI 새싹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