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이후 ec2를 제외한 서비스에서는 ipv4 사용 비용이 발생하므로 이전 글에서 AWS RDS 퍼블릭 액세스를 불가능으로 설정했다.
https://velog.io/@nemokoala/AWS-24%EB%85%84-2%EC%9B%94-%EC%9D%B4%ED%9B%84-IPv4-%EB%B9%84%EC%9A%A9-%EB%B0%9C%EC%83%9D
기존에는 RDS 주소를 통해 바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었지만 퍼블릭 액세스가 불가능해져서 ec2를 통해 접속해야한다.
- ssh 클라이언트 실행
- ssh -i "프라이빗키.pem" "퍼블릭IPv4DNS" 명령어 입력
(예시 : ssh -i "xxx.pem" ubuntu@ec2-00-000-00-000.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 sudo apt install mysql-client
- mysql -h [RDS 엔드포인트 주소] -D [데이터베이스 이름] -u [사용자 이름] -p
(예시 : mysql -h database-1.amazonaws.com -D mydatabase -u admin -p
이렇게 하면 ec2 인스턴스를 통해 mysql 데이터베이스를 확인이 가능하다.
이후 SHOW DATABASES 를 통해 모든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USE [데이터베이스이름]; 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SHOW TABLES; 명령어를 이용하여 몯느 테이블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