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ild an image from a Dockerfile예시Create a new image from a container’s changesList containersRemove one or more containersRun a command in a running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더 쉽게 만들고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꼐된 도구 이며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며 생태계 입니다.컨테이너 안에 다양한 프로그램, 실행환경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고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배포 및 관
검색 트리는 연결 리스트나 큐처럼 자료들을 담는 컨테이너이지만 자료들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정렬한 상태로 저장해 둡니다. 검색 트리는 이 점을 이용해 원소의 추가와 삭제만이 아니라 특정 원소의 존재 여부 확인등의 다양한 연산을 빠르게 수행합니다. 검색 트리중 가장
큐와 스택, 데크는 일렬로 늘어선 같은 형태의 자료들을 저장합니다. 차이점은 어느 쪽 끝에서 자료를 넣고 뺄 수 있는가입니다.한쪽 끝에서 자료를 넣고 반대쪽 끝에서 자료를 꺼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먼저 들어간 자료를 가장 먼저 꺼내게 됩니다. 이러한 속성을
일렬로 늘어선 같은 종류의 자료 여러 개를 저장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구조는 배열입니다. 배열과 같이 일렬로 늘어선 자료등르 저장하기 위한 자료 구조인 동적 배열과 연결 리스트에 대해 다룹니다. 이 두 자료 구조는 배열과 비슷하지만, 배열에서 비효율적이거나 할 수
내부적으로 이진수를 사용하는 컴퓨터들은 이진법 관련 연산들을 아주 빨리 처리한다.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해 정수의 이진수 표현을 자료 구조로 쓰는 기법을 비트마스크(bitmask)라고 부른다.더 빠른 수행 시간비트마스크 연산은 O(1)에 구현되는 것이 많다.더 간결한
영속성 컨텐스트란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이라는 뜻이다. 엔티티 매니저를 통해 엔티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엔티티 매니저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엔티티를 보관하고 관리한다.em.persist(member);엔티티 매니저를 사용해 회원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한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하나만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를 생성해 사용한다.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는 이름 그대로 엔티티 매니저를 만드는 공장인데, 공장을 만드는 비용은 상당히 크다. 따라서 어플리케이션 전체에서 하나의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를
@Entity해당 클래스를 테이블과 매핑한다.@Table엔티티 클래스에 매핑할 테이블 정보를 알려준다.생략하면 클래스 이름을 테이블 이름으로 매핑한다.@Id필드를 테이블의 기본 키에 매핑한다.@Column필드를 컬럼에 매핑한다.생략하면 필드명을 사용해서 테이블의 컬럼명
Actuator also integrates with external application monitoring systems like Prometheus, Graphite, DataDog, Influx, Wavefront, New Relic and many more.
8.1 도입 중복되는 부분 문제 > 동적 계획법은 큰 의미에서 분할 정복과 같은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동적 계획법을 사용하는 알고리즘들 또한 처음 주어진 문제를 더 작은 문제들로 나눈 뒤 각 조각의 답을 계산하고, 이 답들로 부터 원래 문제에대한 답을 계산해 내기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소통하는 엔드포인트, Restful API Restful API https://evan-moon.github.io/2020/04/07/about-restful-api/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