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를 사용하다 보면, 테이블 마다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컬럼들이 있다.그 중 하나로 등록일과 수정일(최종수정일)이 있다. 이는 운영상에 데이터를 추적함에 있어 있으면 좋으므로, 모든 테이블에 들어가 있는 편이다.아래와 같은 컬럼명을 가진다.등록일 : createdAt,
로그 레벨은 중요도에 따라 등급을 가진다.가령, DEBUG는 개발 시 디버그 용도로 사용하는 레벨이고, ERROR는 에러 발생시를 뜻하는 레벨이다.로그 레벨 설정 시, INFO로 설정한다면, 해당 레벨과 상위 레벨인 INFO, WARN, ERROR, FATAL로그만 표
자바에서 쓰이는 빌드툴은 아래 세가지가 있다.AntMavenGradel특징과거에 많이 사용된 빌드 툴설정으로 XML을 사용한다.간단하고 사용하기 쉽다고 한다.단점외부 라이브러리를 관리해주지 않는다.빌드 스크립트가 장황해서 보기 힙들다.특징설정을 위해 XML을 사용함외부
Json Parsing Json을 파싱하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google에서 만든 gson라이브러리의 JsonParser를 사용하였다. JsonParser 파라메터 별 타입 JsonParser는 입력 파라메터 타입에 따라 3가지가 존재한다. 모두 Jso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은 프로세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관리된다. 프로세스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까?프로세스는 크게 아래와 같은 4가지 영역으로 구성된다.코드 ( 컴파일된 Binary 코드)변수 (초기화된 전역 변수)임시데이터 (파라메터, 리턴 값, 로컬 변
우리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올라가서 실행된다. 이렇게 메모리 위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는 이름으로 부른다.우리는 시스템을 사용해서 여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그렇다면 어떠한 순서로 이 프로세스들을 동작시킬지 결정하는 방법이 프로
운영체제라는 단어는 IT기기가 널리 보급된 우리들에게는 친숙한 단어이다. 윈도우, 맥, 리눅스, 안드로이드... 이런것들을 운영체제 라고 한다. 앞의 예시에서 알 수 있듯 운영체제는 어떠한 하드웨어 위에 기본 바탕으로 설치되는 소프트웨어이다. 사용자는 설치된 운영체제
자바 자료형의 기본형 중 정수형(byte, short, int, long) 보다 큰 범위의 정수를 다루고 싶을 때 사용하는 클래스이다.java.Math.BigInteger내부에 int\[] 배열로 데이터를 저장한다.byte : -128 ~ 127short : 약 -3
이진탐색트리(Binary Search Tree) 란? 이진 트리의 일종으로, 데이터가 위치하는 규칙이 추가된 트리이다. 부모 노드 보다 작은 데이터는 왼쪽, 큰 데이터는 오른쪽에 위치하도록 한다. 규칙에 따라 데이터가 위치해 있으므로, 데이터가 삽입되면 정렬된 상태로
기본 비선형 자료구조에서 부모와 자식 규칙을 추가한 자료구조이다.최상단 노드를 루트 노드, 최하단 노드를 leaf 노드라고 부른다.특정 규칙으로 데이터를 부모와 자식으로 나누어 저장 함으로써 데이터의 정렬, 검색, 범위 검색 등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DFS, BFS로
Collections의 List 인터페이스 와 Deque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다.UnSynchronized 하다.멀티 쓰레드 환경에서 사용하면 원하는 결과와 다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thread-safe 하지 않다)데이터 끼리 연결되어 있지 않고, 떨어져 있다.내부
HashMap > key 와 value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 기존의 HashTable을 베이스로 하여 Collections의 Map 인터페이스를 implement하였다. key를 이용한 조회, 수정, 삭제가 용이하다 (빠르다) key는 Unique 해
String.format() : 문자열에 변수를 넣거나, 특정 형식으로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공식 문서 Java Docs :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 Method Summray를 참고하면 for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