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ttoFactory를 인스턴스 변수로 두지 않았던 이유는
Controller는 객체가 아니라 데이터를 가지면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당연히 Domain만 객체라고 생각했었다. (모르는건 부끄러운게 아니다 🥲)
하지만 생각해보니 Controller도 도메인과 뷰를 이어주는 동시에, 객체를 생성하는 책임이 있다.
인스턴스 변수로 가지고 있게 된다면 getLottoTickets 메소드에서 매번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일단 이 코드에서 중요한 점은 어차피 지금 로또를 생성하는 책임을 컨트롤러에서 하고 있었으니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방지하도록 인스턴스 변수로만들어서 재활용하자"가 목적이다.
미션 데드라인을 맞추기 위해 좀 더 꼼꼼히 확인을 못했던 부분인데,
로또 티켓을 만드는 LottoTicketFactory에 있는 상수 값들이 LottoNumber나 LottoTicket등 여러 곳에서 중복되어 쓰이고 있었다.
또 심지어 로또의 MAX 번호는 45인데, 49까지로 입력해 놓았다 🙃
덕분에 상수값 하나라도 꼼꼼히 확인해야겠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중복되는 상수를 막으며, 각 객체가 알고 있어야 하는 값대로 상수를 두고
이를 import 해서 사용하도록 수정했다.
public class LottoNumber implements Comparable<LottoNumber> {
public static final int MIN_LOTTO_NUMBER = 1;
public static final int MAX_LOTTO_NUMBER = 45;
private static final Pattern NUMBER_PATTERN = Pattern.compile("^[0-9]*$");
public class LottoTicket {
public static final int LOTTO_TICKET_SIZE = 6;
import static lotto.domain.LottoNumber.MAX_LOTTO_NUMBER;
import static lotto.domain.LottoNumber.MIN_LOTTO_NUMBER;
import static lotto.domain.LottoTicket.LOTTO_TICKET_SIZE;
import static lotto.domain.Money.LOTTO_PRICE;
public class LottoTicketFactory {
private static final int START_INDEX = 0;
리팩토링 전 로직으로는 구매 금액을 입력 받을 때 만약 14500원이 들어오면 사용한 금액은
14장을 사는데 14000원만 들게 하고 500원이 남는 것은 예외라고 생각하지 않고 진행했다.
그런데 이 로직은 구매한 금액이 아닌 지불한 14500원으로 수익률을 계산하고 있다.
때문에 입력 금액과 구매 금액의 미일치 오류가 발생한다.
피드백을 통해 lottoResult에서 구할 수 있는 티켓 개수와 상수 변수인 로또의 구매장수로
지불 금액을 구할 수 있음을 깨닫고 showResult()
에서 money
를 매개변수로 받을 필요가 없음을 깨달았다.
덕분에 money와의 연관관계를 하나 끊을 수 있고,
수익금 계산 시 입력 금액과 구매 금액 미일치로 인한 수익률 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public static Prize getPrizeType(int matchCount, boolean isBonusBall) {
if (isMatchCountEqualsPivot(matchCount) && isBonusBall) {
return SECOND_PRIZE;
}
return Arrays.stream(values())
.filter(s -> s.matchCount == matchCount)
.findFirst()
.orElse(NO_PRIZE);
}
private static boolean isMatchCountEqualsPivot(int matchCount) {
return matchCount == BONUS_CHECK_PIVOT;
}
public static double calculatePrizeMoneySum(List<Prize> lottoResults, Money money) {
Money moneySum = Money.ZERO;
for (Prize prize : Prize.values()) {
Money perPrizeMoneySum = prize.prizeMoney
.multiple(getCountByPrizeType(lottoResults, prize));
moneySum = moneySum.plus(perPrizeMoneySum);
}
return moneySum.getRate(money);
}
public static int getCountByPrizeType(List<Prize> lottoResults, Prize prize) {
return (int) lottoResults.stream()
.filter(p -> p.equals(prize))
.count();
}
public class LottoResult {
private final List<Prize> lottoResults;
public LottoResult(List<Prize> lottoResults) {
this.lottoResults = new ArrayList<>(lottoResults);
}
public double calculateProfitRate(Money money) {
return Prize.calculatePrizeMoneySum(lottoResults, money);
}
public int getCountPerPrizeType(Prize prize) {
return Prize.getCountByPrizeType(lottoResults,prize);
}
}
LottoResult에서 calculateProfitRate()
을 하기 위해 Prize의 도움을 받았다.
lottoResults가 Prize의 도움을 받지 않고 List<Prize> lottoResults
각각의 prize에게 메시지를 보내 스스로 계산할 수 있도록 코드를 다음과 같이 수정했었다.
public Money getTotalProfit() {
Money totalProfit = Money.ZERO;
for (Prize prize : lottoResults) {
totalProfit = totalProfit.plus(prize.getPrizeMoney());
}
return totalProfit;
}
하지만 리팩토링 후에도 아직 객체 스스로 할 수 있는일들이 남아있었다.
prize
별 갯수를 구하는 것도 stream을 사용해 매개변수로 들어오는
prize
와 비교해 값을 count 할 수 있었는데,
아직도 Prize의 static 메소드를 사용하여 Prize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또 이때까지 로또 티켓과 당첨 티켓을 비교해 결과를 반환하는 책임을
lottoTickets가 가지고 있었다.
곰곰히 생각해보니 로또 티켓과 당첨 티켓을 비교해 결과를 반환하는 책임은 winningLotto가 맡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판단이 되었고,
winningLotto에서 prize를 체크하도록 책임을 이동하였다.
최종적으로 LottoResult를 반환하는 것은 winnigLotto에서 담당하며,
또 Prize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prize를 체크하도록 하였다.
public Prize matchPrize(LottoTicket lottoTicket) {
int matchCount = getMatchingCount(lottoTicket);
boolean isBonusNumber = isContainBonusNumber(lottoTicket);
return Prize.findPrize(matchCount, isBonusNumber);
}
private int getMatchingCount(LottoTicket lottoTicket) {
return (int) lottoTicket.lottoTicket().stream()
.filter(winningTicket.lottoTicket()::contains)
.count();
}
private boolean isContainBonusNumber(LottoTicket lottoTicket) {
return lottoTicket.lottoTicket()
.stream()
.anyMatch(lottoNumber -> lottoNumber.equals(bonusNumber));
}
public static Prize findPrize(int matchCount, boolean isBonusNumber) {
if (isMatchCountEqualsPivot(matchCount) && isBonusNumber) {
return SECOND_PRIZE;
}
return Arrays.stream(values())
.filter(s -> s.matchCount == matchCount)
.findFirst()
.orElse(NO_PRIZE);
}
private static boolean isMatchCountEqualsPivot(int matchCount) {
return matchCount == BONUS_CHECK_PIVOT;
}
public Money getPrizeMoney() {
return prizeMoney;
}
public int getMatchCount() {
return matchCount;
}
리뷰어님께서 수정해주신 코드는 collectingAndThen
메소드를 사용했는데,
처음보는 메소드라 찾아보니 collecting을 진행한 후 그 결과로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는 메서드 였다.
stream map을 써서 객체 하나하나를 생성하고 이를 리스트로 바꿔,
또 객체를 생성하는 나의 로직에서 이 메서드를 사용하면
좀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사용법을 배웠으니, 앞으로 자주 사용할 것이다 👀
또 Collections의 다양한 API를 살펴보아야겠다.
이번 리팩토링에서 수동 로또 개수
를 입력 받고, 이 갯수 만큼 로또를 생성하고 출력해야했다.
원시값 포장의 의미도 담으면서 입력 받는 수동 로또 갯수에 대한 검증하고,
이에 대한 상태와 행위를 한 곳에서 관리 하기 위해 LottoCount
객체를 만들게 되었다.
public class LottoCount {
private final int manualCount;
private final int autoCount;
public LottoCount(int manualCount, int totalCount) {
validateLottoCount(manualCount, totalCount);
this.manualCount = manualCount;
this.autoCount = totalCount - this.manualCount;
}
private void validateLottoCount(int manualCount, int totalCount) {
if (manualCount > totalCount || manualCount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ERROR] 구매 가능한 로또 개수 범위가 아닙니다.");
}
}
public int getManualCount() {
return manualCount;
}
public int getAutoCount() {
return autoCount;
}
}
화요일 강의인 Exception이 내게는 많은 배움을 주어서,
이번 요구사항인 사용자 입력값에 대한 예외처리를 신경썼다.
이전에는 Custom Exception을 만들어서 각 객체마다 예외 처리를 해주었으나,
package lotto.exception;
import lotto.view.ErrorView;
public class IllegalMoneyException extends IllegalArgumentException {
public IllegalMoneyException() {
ErrorView.printIllegalMoneyErrorMessage();
}
}
각 Custom Exception 클래스가 따로 처리하는 일이 없고,
메세지도 super에게 전달하는 것이 아닌 ErrorView
라는 객체를 통해 출력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성을 못느끼게 되어 자바의 기본 예외를 사용하도록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또 객체 단위로 묶어서 에러 메세지를 보내던 부분은
각 예외 사항에 맞게 에러 메시지를 보내도록 수정했다.
요구사항에 따라 리팩토링을 진행하면서 LottoTickets
를 생성해내던 LottoTicketfactory의 역할에 대한 의문이 들었다.
처음 리팩토링에서는 객체를 많이 변경하지 않기 위해 수동 로또 번호들을 받고 자동 로또 갯수를 받아서
LottoTicketFactory
에서 자동 로또 숫자들을 만들고 LottoTickets
를 생성하는 역할로 진행했는데,
로또 티켓들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또 다른 LottoTicketFactory
를 생성하는 것이 좋지 못한 방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때문에 LottoTickets 객체를 생성할 때 로또 번호들의 리스트들을 받아서 (List<List<LottoNumber>> lottoNumbersGroup
) LottoTickets
안에서 로또 티켓들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변경했다.
그리고 기존 LottoTicketFactory
는 AutoNumbersFactory
로 변경하여
자동 로또 숫자 리스트를 만들어내는 역할로 변경해보았다 !
0223 수업 때 로또 넘버의 범위에 제한이 있으니, 이를 미리 캐싱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생각해보라고 하셨다.
생각을 해보고 캐싱하는 방법을 찾아보니 HashMap
을 이용해서 캐싱을 구현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이로 생성자를 private
로 막아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막고,
static block
에 의해 미리 캐싱된 LottoNumber
에서 키값으로 접근해 해당 로또넘버를 가져오는 형식으로 리팩토링을 진행했다.
static {
IntStream.range(MIN_LOTTO_NUMBER, MAX_LOTTO_NUMBER + 1)
.forEach(i -> CACHE_LOTTO_NUMBERS.put(i, new LottoNumber(i)));
}
public static LottoNumber valueOf(int index) {
validateLottoNumber(index);
return CACHE_LOTTO_NUMBERS.get(index);
}
정적 팩터리 메서드에 대해 정리는 했었으나,
사실 언제 써야하고 언제 쓰지 말아야할지 아직 감이 안왔다 해야하나 🥲
그런데 크루들이랑 얘기를 해보니,
정답은 없으나 자신이 쓰는 명분을 가지는게 좋을 것 같다는 결론을 내렸다.
사실 이때까지 정적 팩터리 메서드의 사용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 같다.
static이라는 명분 때문에 객체를 공유한다고 생각했으나,
정적 팩터리 메서드 내에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 반환한다면
상태를 공유하지 않는 것이다.
왜 static이라는 명목 때문에 정적 팩터리 메서드가 무조건
공유되는 객체를 만든다고만 생각했을까 🥲
때문에 이번 리팩토링에서는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적극 사용해 보았다.
이 당시 내가 구현한 LottoController는
private LottoTickets buyLottoTickets(LottoCount lottoCount) {
List<List<LottoNumber>> lottoNumbersGroup = new ArrayList<>();
lottoNumbersGroup.addAll(createAllManualLottoTicket(lottoCount.getManualLottoCount()));
lottoNumbersGroup.addAll(createAutoNumbers(lottoCount.getAutoLottoCount()));
return new LottoTickets(lottoNumbersGroup);
}
이런식으로 LottoTicket에 해당하는 List<LottoNumber>
도 Controller에서 만들고,
이를 가지고 LottoTickets까지 만들어 낸다.
또 보다싶이 List<List<LottoNumber>>
를 만들어 내기 위해 복잡한 코드를 가지고 있었다.
private List<List<LottoNumber>> createAllManualLottoTicket(int manualLottoCount) {
OutputView.printInputManualLottoNumbers();
return IntStream.range(0, manualLottoCount)
.mapToObj(i -> InputView.inputNumbers()
.stream()
.map(input -> LottoNumber.valueOf(ParseUtil.parseInt(input)))
.collect(Collectors.toList()))
.collect(Collectors.toList());
}
이에 대해 남겨주신 피드백은 다음과 같다.
이로 인해 전반적으로 많은 수정이 일어났다.
LottoTicket에 auto()
, manual()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만들고,
LottoTickets에도 auto()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만들어
LottoController에서 생성하고 있던 책임을 분배했다.
public static LottoTicket auto() {
return new LottoTicket(LottoNumbersFactory.generateAutoLottoNumbers());
}
public static LottoTicket manual(List<String> lottoNumberStrings) {
return lottoNumberStrings.stream()
.map(i -> LottoNumber.valueOf(ParseUtil.parseInt(i)))
.collect(collectingAndThen(toList(), LottoTicket::new));
}
LottoTicket에서 List<String>
을 받아 수동 로또 티켓을 생성하도록 리팩토링 해보았다 !
public static LottoTickets auto(int count) {
return Stream.generate(LottoTicket::auto)
.limit(count)
.collect(collectingAndThen(toList(), LottoTickets::new));
}
덕분에 LottoContoller에 있던 많은 책임이 분배되었다고 생각하고(?),
각 메서드 코드도 간결해졌다고 느낀다.
private LottoTickets buyLottoTickets(LottoCount lottoCount) {
LottoTickets lottoTickets = createManualLottoTickets(lottoCount.getManualCount());
lottoTickets.combine(LottoTickets.auto(lottoCount.getAutoCount()));
return lottoTickets;
}
private LottoTickets createManualLottoTickets(int manualCount) {
OutputView.printInputManualLottoNumbers();
return Stream.generate(() -> LottoTicket.manual(InputView.inputNumbers()))
.limit(manualCount)
.collect(collectingAndThen(toList(), LottoTickets::new));
}
피드백을 듣고 생각해보니 LottoTickets를 나는 단순히 LottoTicket의 모음이라고만 생각했었다.
(약간 Repository로 생각했던 것 같다.)
private final List<LottoTicket> lottoTickets;
public LottoTickets(List<List<LottoNumber>> lottoNumbersGroup) {
this.lottoTickets = new ArrayList<>(createLottoTickets(lottoNumbersGroup));
}
public List<LottoTicket> lottoTickets() {
return Collections.unmodifiableList(lottoTickets);
}
private List<LottoTicket> createLottoTickets(List<List<LottoNumber>> lottoNumbersGroup) {
return lottoNumbersGroup.stream()
.map(LottoTicket::new)
.collect(Collectors.toList());
}
고민해보니 이전에 아래와 같이 WinningTicket에서 당첨 결과를 산출했었는데,
public LottoResult checkPrizes(LottoTickets lottoTickets) {
return lottoTickets.lottoTickets().stream()
.map(this::matchPrize)
.collect(collectingAndThen(toList(), LottoResult::new));
}
public Prize matchPrize(LottoTicket lottoTicket) {
int matchCount = getMatchingCount(lottoTicket);
boolean isBonusNumber = isContainBonusNumber(lottoTicket);
return Prize.findPrize(matchCount, isBonusNumber);
}
private int getMatchingCount(LottoTicket lottoTicket) {
return (int) lottoTicket.lottoTicket().stream()
.filter(winningTicket.lottoTicket()::contains)
.count();
}
private boolean isContainBonusNumber(LottoTicket lottoTicket) {
return lottoTicket.lottoTicket()
.stream()
.anyMatch(lottoNumber -> lottoNumber.equals(bonusNumber));
}
이렇게 모든 메서드에서 LottoTicket의 값을 꺼내오고 있었다.
때문에 LottoTickets에 WinnigLotto를 주어 각 LottoTicket에게 비교하라는 메시지를 주는것이 더 옳다고 생각해서
LottoTickets에서 결과를 비교하는 역할을 부여하게 되었다.
또 Controller에서 로또 티켓을 생성하는 역할을 덜기 위해 메서드들이 바로 LottoTickets를 반환하도록 하면서
ManualLottoTickets
와 LottoTickets.auto
를생성하는데
생성된 이 두 LottoTickets
들을 합치는 역할도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combine()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그런데 WinnigLotto에 있던 것들을 LottoTickets로 분배하니 WinningLotto의
역할이 다 빼앗겨 버린건 아닐까 고민이 되었지만,
리뷰어 분께서 괜찮다고 말씀해주셨다.
미션을 진행하면 할수록 아직 배울 것이 많고 나의 부족함을 느낀다.
배울 것이 많다는 것은 느낄 성취감이 많다는 것이니 앞으로 화이팅하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