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여
요구사항 > 기획, 설계, 분석, ... 소스코드 구현, 테스트, 배포 등등 모든사항
컨트리뷰션 활동 유형
오타 수정, 번역, 문서 설명 덧붙임, 배너 문구 수정 제안, UI/UX제안, 버그 픽스, 문서 작업, 기능 추가/수정/삭제, 리팩토링, 버전, 외부모듈 변경, 에러메세지, 리소스, 테스트 케이스 등등 여러가지가 전부 컨트리뷰션 활동에 들어갑니다.
컨트리뷰션(기여) 하는 이유
<오픈소스 저작자>
기여자들이 버그를 찾아줄 수도 있습니다.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 개선할 코드 등등 혼자서 찾을 수 없는 개선사항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사용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Open Source Software, OSS)
소스 코드는 공개 + 라이선스 => 소프트웨어
cf. 우리나라 공공기관 : 공개 소프트 웨어
라이선스 문의를 할 수 있습니다.
컨퍼런스와 아카데미 등이 있습니다.
OSI : OSS 인증마크
OLIS
Contribution 주의사항
협업 주의사항
커뮤니케이션 : 태도, 자세, 말투 > 겸손하게
소스코드충돌
새롭고, 큰 중요한 기능을 추가하고 싶을 때...
pull request를 던질때
킨트리뷰트(기여) 절차
Contributing 문서 / 가이드
1.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Fork
Fork를 하면 내 계정의 repository로 복제가 됩니다.
두 repository는 연결이 되어있습니다. 저작자 계정의 repository가 업데이트 되면 Fork시킨 내 계정의 해당 repository도 업데이트가 됩니다.
Clone
Clone은 repository를 내 로컬 컴퓨터로 내려받아오는 과정입니다.
코드 컨벤션을 체크합니다. 커밋메세지의 규칙등 코드 구현 전에 체크리스트를 확인합니다.
코드를 구현 or 수정 (주석수정도 컨트리뷰트에 포함됩니다.)
내 계정 github repository(Clone했던)로 Push합니다.
github 내 repository에서 오픈소스(저작자 github) repository에 pull request를 합니다.
Contributor License Agreement
라이센스 동의받기
리뷰어, 커미터, 메인테이너, 저작자 ...검토해줄 사람 (사람이 없을경우 해오거나 요청, 하지만 검토 생략하고 바로 merge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merge가 되면(=pull request closed) github쪽에서 알림이 옵니다.
컨트리뷰터 리스트에 내 계정이 추가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