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Joon - 2231

Lucky Unlucky·2025년 7월 7일
0

Backjoon 문제풀기

목록 보기
19/29

문제


어떤 자연수 N이 있을 때, 그 자연수 N의 분해합은 N과 N을 이루는 각 자리수의 합을 의미한다. 어떤 자연수 M의 분해합이 N인 경우, M을 N의 생성자라 한다. 예를 들어, 245의 분해합은 256(=245+2+4+5)이 된다. 따라서 245는 256의 생성자가 된다. 물론, 어떤 자연수의 경우에는 생성자가 없을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자가 여러 개인 자연수도 있을 수 있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의 가장 작은 생성자를 구해내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 생성자가 없는 경우에는 0을 출력한다.


예제



해결


const fs = require("fs");
const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trim();
 
const n = parseInt(input);
let m = 0;

for(let i = 0; i < n;i++){
    let sum = 0;
    const candidate = i;
    const string = candidate.toString();
    for(let j = 0; j < string.length;j++){
        sum += parseInt(string[j]);
    }
    sum += candidate;
    if(sum == n){
        m = candidate;
        break;
    }
}

console.log(m);

i를 0부터 n-1까지 하나씩 늘려가며 후보 생성자로 삼습니다.
후보 생성자를 문자열로 바꾼 뒤, 각 자리 문자를 parseInt로 다시 숫자로 변환해 sum에 더합니다.
예를 들어 후보 생성자 = 256이라면 '2', '5', '6'을 순서대로 숫자로 바꿔 더해서 2+5+6 = 13이 되고,
마지막에 sum += 후보 생성자;로 “자기 자신”까지 더하면

분해합 = (각 자리의 합) + (자기 자신)

이 됩니다.
만약 이 값이 n과 같다면, i가 n의 분해합(생성자)이므로 m = candidateV;에 저장하고
더 작은 값을 찾지 않아도 되므로 break;로 반복을 종료합니다.

profile
늒네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