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수집, 분석, 검색, 시각화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모음(오픈소스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말한다.
예전에는 ELK Stack(Elasticsearch, Logstash, Kibana)이라고도 불렸는데, Beats가 추가되면서 Elastic Stack이라는 이름으로 확장되었다.
구성 요소 | 역할 설명 |
---|---|
Beats | 경량 데이터 수집 에이전트. 서버나 클라이언트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해 Logstash나 Elasticsearch로 전달함. |
Logstash | 로그, 메트릭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공한 뒤 Elasticsearch로 전달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 도구. |
Elasticsearch | 실시간 검색과 분석을 위한 분산 검색 엔진. 모든 데이터가 이곳에 저장됨. |
Kibana | Elasticsearch에 저장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대시보드로 보여주는 웹 인터페이스. 분석과 모니터링에 사용됨. |
클러스터는 하나 이상의 Elasticsearch 노드로 구성된 노드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안정성을 위한다면 단일 노드보다는 클러스터로 구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클러스터 내 모든 노드는 같은 클러스터 이름(cluster.name
)을 공유하며,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고, Index와 Shard를 자동으로 분산 관리한다.-
또한 각 노드는 자신이 속한 클러스터의 데이터에만 접근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다른 클러스터의 데이터에는 접근할 수 없다.
구성 요소 | 정의 | 관계 |
---|---|---|
Cluster | 여러 노드로 구성된 Elasticsearch 시스템 전체 | 하나 이상의 노드를 포함 |
Node | 클러스터 내에 포함된 단일 서버(인스턴스) | 여러 Shard를 저장함 |
Index | 데이터를 저장하는 논리적 단위 | 여러 Shard로 구성됨 |
Shard | Index를 분할한 물리적 저장 단위 | Primary / Replica로 나뉨 |
Primary Shard | 데이터가 최초로 저장되는 샤드 | Index 생성 시 지정한 개수만큼 생성됨 |
Replica Shard | Primary Shard의 복제본 | 장애 복구 및 검색 성능 향상을 위해 존재함 |
참고 사이트
이 페이지의 이미지 일부에는 네이버에서 제공한 나눔글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썸네일 생성: Thumbnail Ma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