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CP >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동적 호스트 설정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 DHCP 작동 원리 > DHCP의 IP 주소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는 연속된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할당된 메모리의 범위를 넘어선 위치에 자료를 읽거나 쓰려고 할 때 발생한다.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게 되면 프로그램의 오작
UNIX 시스템은 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보안 등의 관리를 위하여 사용자와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에 대한 식별이 필요하다.사용자 ID와 그룹 ID는 사용자와 그룹을 식별하는 식별자로 시스템에 유일한 정수 값으로 기술된댜.UNIX 시스템은 자원의 소유주가 소속된 그룹에
UNIX는 시스템 관리자가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마다 해당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etc/passwd 파일에 저장한다.passwd 파일에는 UNIX 시스템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기본 정보들이 담겨 있다. 이 파일의 각 라인은 개별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로그인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은 입력한 패스워드와 /etc/passwd 파일의 해당 필드를 비교한다.(유닉스는 모든 과정이 별개의 프로그램으로 실행된다.)패스워드 확인 후 로그인 프로그램은 쉘이 사용할 변수들을 근거로 초기 환경을 설정한다
패스워드로 자주 사용되는 사전에 있는 단어, 키보드 자판의 일렬순(ex. asdf, qwer1234), 주민등록번호, 이름 등을 미리 사전(Dictionary) 파일로 만든 후 이를 하나씩 대입하여 패스워드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패스워드 크래킹 방법패스워드에 사용될 수
단순히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전달하여 인증하는 방식은 정보 노출 및 패스워드 재사용 공격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운영체제 인증과 같은 높은 수준의 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는 적절하지 않다.윈도우는 "Challenge & Response" 방식의 인증 구조를 사용한다.각 단계
윈도우의 각 사용자나 그룹에 부여되는 고유한 식별번호.로그온을 하는 동안 윈도 도메인 컨트롤러가 할당하는 고유 이름이다.사용자 계정 및 패스워드 정보를 담고 있는 SAM 파일에 SID 정보가 저장된다.S-1 : 윈도우 시스템을 의미5-21 : 시스템이 도메인 컨트롤러
윈도우 인증과정 > 윈도우 인증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 서비스에는 LSA(Local Security Authority), SAM(Security Account Manager), SRM(Security Reference Monitor) 등이 있다. > ## LSA (L
코딩에서 명령어들이 몇 번이나 실행이 되는지를 센 결과에 각 명령어의 실행시간을 곱한 합계를 의미한다.시간 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중에는 Big-O 표기법이 있다. 실행시간을 n이라고 치면 O(n)이라고 표기하는 방법이다. (차수가 가장 높은 최고차항빼고 다 버린다.)B
세계는 균형이 잘 잡혀있어야 한다. 양과 음, 빛과 어둠 그리고 왼쪽 괄호와 오른쪽 괄호처럼 말이다.정민이의 임무는 어떤 문자열이 주어졌을 때, 괄호들의 균형이 잘 맞춰져 있는지 판단하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이다.문자열에 포함되는 괄호는 소괄호("()") 와 대괄호("\
Repeater(리피터), HubSwitch, BridgeRouter(라우터), L3 Swtichcable 전송으로 약화된 신호를 초기화, 증폭, 재전송의 기능을 수행리피터와 허브는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MAC 주소나 IP주소를 이해하지 못하고 단지 전기 신호만을 증
LAN구간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킹 방식 중 하나(Layer2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다른 방식으로는 Token ring, FDDI 방식이 있다.네트워크 방식에 맞춰서 네트워크 장비들을 구입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90% 이상이 Ethernet 방식으로 네트워킹)Eth
메모리 보호기법 확인$checksec --file=filenamegdb 실행 후 "checksec"으로 확인 가능 실행파일과 관련된 공유 라이브러리, 스택, 힙이 매핑되는 메모리 영역의 주소를 랜덤으로 배치하는 것실행할 때마다 영역의 주소가 랜덤적으로 계속 변경됨이를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1984년에 발표한 OSI 7 Layer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구분해서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보여준다.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물리적인 표준 정의두 컴퓨터 간에 전기적인, 기계적인 그리고 절차적인 연결을 정의하는 계층(케이블 종
각 장비들이 정확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구분을 해주는 것이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네트워크에 연결된 장비들이 가지는 48bit(6 Octet)의 고유한 주소.Physical address, 물리적 주소이진수 4개를 묶어
일 대 일 전달 방식수신 측이 한 곳으로 정해져 있는 경우Ex) Destination IP address : 192.168.1.1 Destination MAC address : 00-12-65-32-3A-CC정확한 특정 목적지의 주소 하나만 가지고 일 대 일로 전달하
프로토콜(Protocol) > 프로토콜(Protocol)이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세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 *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통신을 하기 위한 언어 혹은 약속 > * 통신 protocol이란 연
LAN(Local Area Network)근거리 통신망한정된 좁은 지역에 구성된 네트워크(ex.PC방, 사무실, 등)초기 투자 비용이 높지만 유지 보수비는 낮다.LAN 구성 장비로는 Switch(Bridge), HUB 등이 있다.WAN(Wide Area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