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과 객체지향

LST·2022년 7월 21일
0

스프링?

  • 스프링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있다. 스프링 부트, 프레임워크, 데이터, 시큐리티, 배치, 클라우드 등 이 있다. 흔히들 스프링 이라고 부르는 것은 보통 이 생태계 전체를 지칭한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는 JDBC, 트랜잭션 같은 데이터 접근 기술,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스프링MVC 등 다양한 기술이 있는데 이것들을 모두 통합하여 스프링 프레임워크라고 한다.

  • 최근에는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프링 부트를 기본으로 사용한다.

스프링 부트?

  • 서버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가능하다.
  • starter 종속성 제공. 따라서 손쉽게 빌드 가능하다.
  • 써드파티 라이브러리의 버전과 관련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구성하고 환경설정이 편리하다.
  •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와 별도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스프링 부트는 스프링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뿐이다.

스프링의 핵심

  • 스프링은 자바 언어 기반의 프레임워크이다.
  • 따라서 스프링은 객체 지향 언어의 특징을 살려내고 좋은 객체 지향 어플리케이션을 만들도록 도와주는 프레임워크이다.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마치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유연하고 변경이 용이하다.

다형성의 본질

  • 역할과 구현을 분리하여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객체 인스턴스를 실행 시점에 변경 가능
  • 클라이언트를 변경하지 않고, 서버의 구현 기능을 유연하게 변경 가능
  • 스프링은 이러한 다형성을 극대화해서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좋은 객체지향 설계(SOLID)

  • SRP(단일 책임 원칙)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한다.
  • OCP(개방-폐쇄 원칙)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
  • LSP(리스코프 치환 원칙)
  •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DIP(의존관계 역전 원칙)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고 구현 클래스에는 의존하면 안된다.)

    MemberRepository m = new MemoryMemberRepository();
    이것은 인터페이스에도 구현클래스에도 모두 의존하고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