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ort numpy
import numpy as np
from numpy import array

* Axis: 배열의 각 축
ex) axis = 0(각 행), axis = 1(각 열)
* Rank: 축의 개수(차원)
* Shape: 축의 길이
ex) (3, 4)

함수들
- arr.ndim: 차원확인
- arr.dtype: 요소 자료형 형식 확인
- arr.shape: 형태나 크기 확인
- arr.reshape: 배열에 포함된 요소가 사라지지 않는 형태로 변환 가능
- ex) (3, 4) → (2, 6) → (4, 3) → (12, 1) → (6, 2)
- 이런식으로 요소 개수만 변하지 않으면 된다.
- 여기서 요소 개수는 각 행렬을 곱하면 알 수 있다.
- (-1, m) 이나 (n, -1)을 사용하여 -1의 자리에는 행(n) 이나 열(m)크기를 한 쪽만 지정할 수 있다.
이외에 배열을 만드는 함수들이 있다
- np.zeros((행, 열)): 0으로 행, 열 만큼 채운진 배열
- np.ones((행, 열)): 1로 행, 열 만큼 채워진 배열
- np.full(행, 열), 값.): 값. 으로 행, 열 만큼채워진 배열
- np.eye(x): x, x 처럼 정방향 행렬
- np.random.random(): 랜덤 값으로 채운 배열
함수: np.reshape(), np.mean() 등
- 리스트와 튜플 형태로 가능
- np array로 변환해서 평균을 구해 줌
메서드: a.reshape(), a.reshape() 등
- np array만 사용 가능
요소조회
- arr1[ 행 인덱스, 열 인덱스]: 한번에 가져옴
- arr1[행 인덱스][열 인덱스]: 행 가져오고 열을 가져옴
- 위 방법의 결과는 같음
- ex) arr1(1, 3) 행의 1번 인덱스, 열의 3번째 인덱스
행 조회
arr1[행 인덱스, :] 또는 arr1[행 인덱스]
- ex) arr1[1, :] 행의 1번 인덱스의 행과 모든 열
- ex) arr1[1] 행의 1번 인덱스
arr1[[행1, 행2]] 혹은 arr1[[행1, 행2], :]
- ex) arr1[[1, 2]] 1번 인덱스 행과 2번 인덱스 행
- ex) arr1[[0:2]] 0번 인덱스 행부터 1번 인덱스 행까지
- arr1[시작: 끝]
- arr1[0 : 2] 0번 인덱스 행부터 1번 인덱스 행까지
- arr1[행인덱스, 시작:끝]
- arr1[0, 0:2] 0번 인덱스 행에서 열의 0번에서 1번 인덱스까지
- arr1[시작:끝, 시작:끝]
- arr1[0:3, 1:3] 행 인덱스 0~2, 열 인덱스 1~2
score= np.array([[78, 91, 84, 89, 93, 65],
[82, 87, 96, 79, 91, 73]])
print(score[score >= 90])<code>
[91 93 96 91]
a = np.array([[1,5,7], [2,3,8]]) print(np.sum(a)) print(np.sum(a, axis = 0)) print(np.sum(a, axis = 1)) 26 # 전체 합 [3 8 15] # 열 방향 합 [13 13] # 행 방향 합

a = np.array([1,3,2,7])
np.where(a > 2, 1, 0)
array([0, 1, 0, 1])
[참고] 한기영 강사님 수업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