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시장 분석

아현·2025년 1월 11일
0

산업 분석

목록 보기
35/35

CJ 대한통운 주 7일 배송 시작

https://newneek.co/@trendlite/article/16050

  • 새해부터 주 7일 배송 서비스인 매일 오네를 시작
  • 이번 서비스는 쿠팡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
  • 쿠팡은 최근 배송 기사와 단가 문제로 이슈, 셀러들은 최저가 요구와 높은 수수료로 쿠팡에 대한 불만 존재
  • 고객: 쿠팡에서 이탈할 이유가 부족
  • 쿠팡은 가격(셀러에게 최저가 요구) , 구색(로켓 배송 600만개 보유)라는 차별점이 추가로 있기 때문
  • 현재 CJ 대한통운 스타배송은 15만개
  • 편의성에서 쿠팡에 가까워진 CJ 대한통운
  • 과감한 투자와 실행이 필요한 시점
  • 셀러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수수료를 내리는 등 방식->상품 구색 확대 필요

현대차의 파격 변신

https://newneek.co/@newneek/article/14825?utm_source=article&utm_medium=body_content&utm_campaign=path_16041&utm_content=14825

  • 새로운 전기차 기업이 떠오르면서 현대자동차,도요타, GM 정도만 살아남을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트럼프 당선인은 미국 자동차 정책을 바꿀 가능성이 커지면서 소수 자동차 기업을 뺴고는 다 위기에 처할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 여러 조건(자동차 여러 종류 출시,압도적인 기술, 미국 공장 등)에 딱 맞는 기업은 현대차로,
    폭스바겐 그룹을 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 현대는 중국 시장보다 인도시장 공략에 나서면서, 인도 증시 역사상 가장 큰 규모로 상장하며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에 의존도가 높았던 폭스바겐은 오히려 애국 소비 흐름이 중국에서 강해지면서 창사 이래 큰 위기를 겪고 있다)
  • 비야디는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우리나라 승용차 시장 진출을 앞두고 있는 만큼 현대차의 지위가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
    대비를 해야한다.

k 웹툰 매출 2조원 돌파

https://view.asiae.co.kr/article/2025010302052960437

  • 2023년 20% 가까운 성장률 기록, 사상 처음 매출액 2조원 돌파
  • 2024 웹툰 산업 실태조사, 총 매출액 2조
  • 창작자의 수입 저조, 2023년 내내 웹툰 작가 수익 중윗값 3800만원
  • 웹툰 수출 , 일본이 40%로 가장 높은 비중 차지,북미>중화권>동남아시아 순

삼성전자
https://www.yna.co.kr/view/AKR20250108029152527?input=1195m
직전 분기 비교 약 30% 감소
삼성 전자 주력 제품 범용 메모리 수요 부진
: 스마트폰 등 IT 수요 침체가 깊어지면서 범용 메모리 수익성 악화가 길어진 원인
:IT 제품 중심의 업황 악화
엔비디아에 메모리 공급이 늦어진 원인
중국 저가 물량 공세에 따른 공급 과잉, 메모리 가격하락, 메모리 출하량과 판매 가격이 예상보다 부진
모바일 신제품 출시 효과 감소 및 업체 경쟁 심화로 실적이 감소
지난해 4분기 어닝 쇼크 기록

2025년 경제 전망 키워드로 ‘차이나 쇼크’가 떠오른 이유

https://newneek.co/@newneek/article/16059

  • 차이나쇼크는 2001년 시작한 말로, 중국이 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중국산 공산품이 전세계 시장을 싹쓸이 했다. 차이나쇼크란, 중국산 공산품의 저가 공세로인해서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이 줄줄이 무너진 것을 표현한다.
  • 현재 차이나 쇼크 2.0은 이전보다 더 심하다. 내수시장까지 진출하면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으며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는 상황이다.분야를 가리지 않음
  • 대표적인 플랫폼으로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로 쿠팡에 이어 국내 점유율 2,3위까지 오르면서 적극적으로 한국 내수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 세계 전기차 점유율 1위 중국 자동차 기업 BYD,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점유율을 끌어올린 것이라는 말이 나온다.
  • 샤오미는 한국 법인을 세우면서 중저가형 스마트폰 중심으로 전자기기를 판매할 예정이라고 한다.
  • 로보락(로봇청소기 기업)은 점유율 1위를 찍으면서 세탁기와 건조기 분야에도 뛰어들고 있다.
  • 중국은 해외진출시장에 목숨을 걸고 있다. 중국 내수 시장에 위기가 찾아오면서 해외 의존도가 강해졌고, 적극적으로 해외진출을 해 매출을 올려야하는 상황이다.
  • 중국의 해외진출로 우리나라가 가장 많이 영향 받는 나라로 지목되기도 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78716)
  • 원인으로는 중국 제조업의 급성장. 삼성,SK 등 타격 심화가 예상된다.
    석유화학과 설창,선박에 이어 디스플레이까지 중국 업체들의 시장점유율 확대 차세대 신사업 전환에 명운을 걸어야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