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상생안을 펼친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

아현·2024년 11월 28일
0

산업 분석

목록 보기
20/35

새로운 상생안을 펼친 배달플랫폼과 입점업체

  • 배달 중개수수료 부담 완화를 골자로 하는 상생안 마련에 성공
  • 배민과 쿠팡이츠는 곧바로 상생안을 적용하지 않음
  • 법제화된 것이 아닌 상생안이기 때문에 플랫폼이 약속을 이행할 것인지 여부를 지켜봐야함
  • 지속적인 논의 필요 (지속적 상생협의 구조 )

#상생안에도 불구하고, 폐업위기에 놓인 입점업체

  • 배달 플랫폼, 광고비나 결제수수료를 통해서 자영업자에게 새로운 부담을 전가할 수 있는 상황
  • 이후 가맹업주는 개선을 위해 이중가격제를 도입할 수 있음
  • 배달 플랫폼이 갑자기 수수료를 긴급 인상할 경우, 또는 어떤 편법을 쓸지 알 수 없는 상황
  • 현재 배달 금액과 수수료, 음식값은 치솟고 있어 배달업을 중단해야하는 상황
  • 이중가격제를 도입하는 것이 BEST,고객 입장에서는 이를 가격인상으로 확인하여 매출 감소

#개선방안은?

  • 법제화 필요
  • 전담부서를 설치해서 지속적인 감시와 감독이 필요
  • 이중 가격제에 대해 소비자 민심이 돌아서지 않도록 방안 마련

#추가조사

#프랜차이즈의 이중가격제

  • 상생안이 가맹점주의 배달 비용 증가를 늘릴 수 있다는 점에서, 이중가격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음

  • 현재 차등수수료 도입하는 내용의 상생안을 마련

  • 프랜차이즈의 상생안 취지: 배달 비용 부담을 완화해서 가격 투명성을 올리고 싶음

  • 배달 경쟁 심화 및 가격 인하 압박이 커질 것을 우려하는 상황

  • 소비자는 나중에 낮은 가격을 요구하게 될 것임, 이는 수익성 악화를 초래

  • 배달의 민족,상생협의체에서 가게 배달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수수료 측면)

  • 계속해서주문이 줄어들고 있는 가게 배달 , 음식점 사장님은 수수료 인상으로 인해 부담 증가

  • 배달 라이더 역시 매출 감소로 인한 수입 감소 걱정

WHY?
1. 대형 프랜차이즈는 브랜드 마케팅이나 신제품을 통해 지출 비용을 줄이는게 쉽지가 않다.
2. 상생안 도입시 이중 가격제 도입을 권고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3. 이를 소비자에게 전가,가맹업주의 수익성 악화에 방어
4. 가맹업주 피해 배달 수요 감소와 가격인상에 따른 고객의 반발 효과 있을 예정

https://www.ge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03854
출처

https://economist.co.kr/article/view/ecn202411200060

요약

  • 상생안을 적용했지만 배달앱수수료와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하지 않음
  • 상생안일뿐 , 법제화가 되지 않아서 해당 배달 플랫폼이 그대로 실현할지 모르는 상황
  • 이중가격제 도입 검토, 이로 인해 매출 감소 예상
  • 지속적인 상생구조를 위해서 이중가격제 폐지 필요

적용할점

  1. 배달 플랫폼의 이중가격제 도입이 실시될 경우,매출이 당연히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이럴 경우 배달 수요자를 어떻게 모색해서 배달 수입을 늘릴 것인지 궁금하다.

2.배달 없이 포장이나 직접 방문 고객을 통해 고객 유치가 필요한데, 그와 관련된 프로모션 전략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