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식품 업체는 현재 고물가 동향과 건강 트렌드로 집밥 문화가 강해지면서, 가정간편식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으로, 하나의 간편한 음식이지만 정성껏 들인 공정 과정의 음식을 판매한다는 점에 있어서, 가치소비 지향자 역시 잠재고객으로 둘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아이에게 맛있는 음식을 제공하고 싶은 3040여성세대에게도 맞춤형 음식이다.
해당 신제품으로 프랜차이즈는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현재 HMR 매출이 어떤지를 확인해보았다.
식품업계 트렌드 동향(신제품은?)
청정원 ,갈비탕
-국물요리 성수기 겨울철을 앞두고 갈비탕을 새롭게 선보인 청정원
-기름기를 제거해, 최적읜의 조건에서 오랜시간 고움
- 밀키트지만 정성껏 끓여 향긋하면서 깊은 국물의 맛을 낼 수 있는 것이 특징
- 2인분 양을 원팩으로 구성 , 포장재는 줄이고 조리 편의성을 높임
신세계푸드 ,순살감자탕 & 고기순댓국
- 냉동 국물 간편식 순살감자탕과 고기순댓국 출시
- 냉동 상태의 제품을 봉지 그대로 끓는 물에 넣고, 15분 데워 간편하게 즐길 수 있음
맘스터치, 딜리셔스 핫팩 세트
- 연말연시, 홈파티 등 잦은 모임에서 찾아먹을 수 있는 메뉴를 신제품으로 출시
- 연말 한정세트를 선보인 프리미엄 치킨버거,고소한 통모짜렐라 치즈패티
- 정가 대비 약 4,000원 할인된 합리적인가격에 판매
한국 맥도날드 ,크리스마스 시즌 신제품 출시
- 이국적이고 깊은 맛이 특징이며, 향긋한 향을 맛을 더한 트러플 치즈 버거
- 맥모닝 ㅔㅁ뉴, 트러플 랜치 소스 조화가 특징, 크리스마스 시즌과 잘 어울리는 색감
#요약
-HMR시장, 국물 간편 요리를 출시, 제품에 대한 퀄리티 향상을 위해 제조과정 및 공정과정에
일정 시간을 투자하며 깊은 국물의 맛을 재현
-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는 것이 단점, 순댓국과 감자탕 등 국물 간편식을 출시하는 등 다양한 라인업 O
- 패스트푸드 업계의 경우, 홈파티에 맞춘 초대 요리 음식이나 크리스마스를 겨냥한 이국적인 맛을 통해 신제품 출시
1.코로나 때 흥한 HMR 요즘은 어때...고물가로 더 잘나가
-HMR은 엔데믹 이후 성장세, 배송 인프라 발달과 1인 가구 증가로 지속 활성화될 전망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외식 메뉴, 고기곰탕과 순살감자탕을 출시,차별화된 조미기술 특징인 청정원의
호밍스 신메뉴
- 전년 대비 23% 증가 (2023년 냉동 국물요리의 시장규모), 매출 323억원
- why? 취식 트렌드를 반영, 차별화된 급속 냉동 기술을 통해 식재료의 신선함 구현
- 온라인몰의 역할도 있었음, 식품업계는 소비자들이 가정간편식을 보다 간편하게 고를 수 있도록
온라인몰과 앱 정비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750811
2.찬 바람 불 땐 국물…냉동 간편식 규모 3년간 42% 커졌다
- 지난해 시장 규모는 322억원, 3개년 연평균 성장률은 42% 성장
- 저렴한 가격에 장기간 보관할 수 있어 냉동 국물요리를 찾는 소비자가 늘어남
- 냉동 국물 간편식 제품군 확대, 외식으로 즐기는 메뉴 가정에 먹을 수 있도록 메뉴 다양하게 구성
- 냉동 국물 간편식 판매량은 신세계푸드 ,3분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1% 상승
- 간편 조리 선호 '주부층' 중심으로 냉동 국물 간편식 인기
- 소비자 취향에 맞는 간편식 선보여서 입맛 공략 예정
현재 쿠팡 기준 1위 국물요리 HMR, 비비고 국탕찌개 10종 30,000원
개당 3,000원 꼴
제품 저렴 ,한끼 식사 가격 합리적
2위, 올따옴 양반 미역국,무국,시래기등 8개입 24,000원
개당 3,000원 꼴
설렁탕 검색시 한촌설렁탕 1위, 6팩에 29,000원
2위 양반진국 사골곰탕, 8개에 7,980원 (가격 3.5배 차이O)
적용할점
간편식이 외식 비용보다 저렴하며, 실제로 HMR은 깊은 공정 기법과 달리 저렴한 가격 개당 3-4천원대로
구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소비자 유치가 가능하다고 생각. 특히 한파 이슈로 외출을 꺼리는 소비자에게
있어 점심/저녁 식사로 외출 내 특정 업체 방문은 업체만의 유저 유치 차별화 조건이 있어야지 가능하다고
생각.
특정 업체를 방문해야하는 고객의 방문 단계까지의 고객 여정을 생각한뒤, HMR이 아닌 외식을 선택해야하는
고객 인식을 바꾸는 기획이 필요하다고 생각.
- HMR 시장의 점유율 확대로 한국 외식 업계의 매출 감소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집에서 간편식을 해먹는 소비자에게 어떤 방식으로 신규 고객을 유치시키고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