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 JavaScript] 배열 (1)

Changyun Go·2021년 7월 27일
0
post-thumbnail

[JavaScript] 배열

  • 배열(array)은 연관된 데이터를 한꺼번에 관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 변수와 달리 배열은 여러 개의 데이터를 담고 꺼낼 수 있다. → 하나의 변수에 여러 개의 값을 순차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배열의 생성


  • 변수에 배열을 대입하며 0개 이상의 값을 쉼표로 구분하여 대괄호([])로 묶는다
  • 배열 안에 들어있는 값을 원소라고 한다.
var member = ['egoing', 'k8805', 'sorialgi']
alert(member);  // egoing,k8805,sorialgi
  • 원소에 접근할 때에는 대괄호 내에 접근하고자 하는 요소의 인덱스를 넣어준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프로그래밍은 숫자를 0부터 numbering한다.)
var member = ['egoing', 'k8805', 'sorialgi']
alert(member[0]);  // egoing
alert(member[1]);  // k8805
alert(member[2]);  // sorialg

배열의 효용


  • 함수는 여러 개의 입력을 받을 수 있지만, 출력은 하나만 가능하다.
function get_member1(){
    return 'egoing';
}
document.write(get_member1());
 
function get_member2(){
    return 'k8805';
}
document.write(get_member2());
 
 
function get_member3(){
    return 'sorialgi'
}
document.write(get_member3());
  • return하는 결과에 배열을 이용하면 여러 개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
var members = get_members();
document.write(members[0]);
document.write(members[1]);
document.write(members[2]);

배열과 반복문


  • 원소를 하나씩 꺼내어 가공하는 것이 배열의 핵심
  • 배열이 길어진다면 인덱스 값을 기억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 반복문과 배열이 만나면 효용이 극대화된다.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
members = get_members();
// members[i].toUpperCase()는 members[i]에 담긴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준다.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EGOING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K8805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SORIALGI
    
  • toUpperCase()와 같은 함수를 내장 함수라 하고, 프로그래머가 만든 함수를 사용자 정의 함수라 한다.

다른 원소가 추가된다면 코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되지 않는다.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leezche'];
}
members = get_members();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EGOING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K8805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SORIALGI
  • length 속성을 사용하면 배열의 크기(원소의 갯수)를 알 수 있다.
var a = ['egoing', 'k8805', 'sorialgi'];
alert(a.length);  // 3

for 문과 length 속성을 사용하여 배열에 들어있는 모든 원소를 출력할 수 있다.


for(i = 0; i < members.length; i++){
    // members[i].toUpperCase()는 members[i]에 담긴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준다.
    document.write(members[i].toUpperCase()+'<br />');   

P.S.

for 문과 배열의 궁합이 어마무시하다..😲 인간이 하지 못하는 일을 할 때 컴퓨터가 효용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for 문이 없는 배열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다른 문법이지만 서로가 필요에 의해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참고 문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