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r member = ['egoing', 'k8805', 'sorialgi']
alert(member); // egoing,k8805,sorialgi
var member = ['egoing', 'k8805', 'sorialgi']
alert(member[0]); // egoing
alert(member[1]); // k8805
alert(member[2]); // sorialg
function get_member1(){
return 'egoing';
}
document.write(get_member1());
function get_member2(){
return 'k8805';
}
document.write(get_member2());
function get_member3(){
return 'sorialgi'
}
document.write(get_member3());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
var members = get_members();
document.write(members[0]);
document.write(members[1]);
document.write(members[2]);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
members = get_members();
// members[i].toUpperCase()는 members[i]에 담긴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준다.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EGOING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K8805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SORIALGI
다른 원소가 추가된다면 코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되지 않는다.
function get_members(){
return ['egoing', 'k8805', 'sorialgi', 'leezche'];
}
members = get_members();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EGOING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K8805
document.write(members[0].toUpperCase()); // SORIALGI
var a = ['egoing', 'k8805', 'sorialgi'];
alert(a.length); // 3
for 문과 length 속성을 사용하여 배열에 들어있는 모든 원소를 출력할 수 있다.
for(i = 0; i < members.length; i++){
// members[i].toUpperCase()는 members[i]에 담긴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해준다.
document.write(members[i].toUpperCase()+'<br />');
for 문과 배열의 궁합이 어마무시하다..😲 인간이 하지 못하는 일을 할 때 컴퓨터가 효용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for 문이 없는 배열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다른 문법이지만 서로가 필요에 의해 깊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