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을 들을 때 마다 헷갈렸는데 잘 정리된 블로그글이 있어서 가져왔다 하나의 html 파일이 하나의 웹페이지를 가지는 사이트.(html 의 변화가 없음) 웹사이트의 route 구조가 파일 디렉토리 구조와 동일. 파일들이 접근 제한이 없음(public) 서버에 미리 저
아직까지 제대로 된 동적 사이트를 만들어 본 적이 없어서, css 차원에서 페이지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웹사이트를 제작하려고 했다. 다시 쓰려면 검색해 볼 것 같은 부분만 가져왔다em, vw, vh 등의 개념을 이해하지 못해서 일일히 수작업으로 맞추고, css도 cla
블로그에 설명이 굉장히 잘 되어 있다. 블로그 그림이랑 같이 봐야 이해가 쉽다vw = viewport width / ex) 500px너비의 뷰포트면 1vw=5px (1%)vh = viewport height사용자가 브라우저 창 크기를 바꾸거나 모바일 화면을 회전시켜도
네이버 D2 사이트에 좋은 포스트가 있어서 이해하기가 수월했다. 원 포스트에서 이미지를 보면서 이해할 것마침 만들고있는 방탈출 페이지의 테마 이미지들을 정렬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되었다.뷰포트나 요소의 크기가 불명확하거나 동적으로 변할 때에도 효율적으로 요소를 배치, 정렬
rgb 238 238 238값이 화면의 오른쪽 높이 전체를 차지하게 하고 싶은데,height 100vh 값 혹은 100vmax, 100% 값을 아무리 줘봐도그 안의 컨텐츠가 높이를 초과하게 되면 중간에 색깔이 끊겨 어색하게 보였다.이때 html에 100%를 주고,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