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을 들을 때 마다 헷갈렸는데 잘 정리된 블로그글이 있어서 가져왔다
하나의 html 파일이 하나의 웹페이지를 가지는 사이트.(html 의 변화가 없음)
웹사이트의 route 구조가 파일 디렉토리 구조와 동일.
파일들이 접근 제한이 없음(public)
서버에 미리 저장된파일(html, image, javascript)이 그대로 전달되는 사이트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해당하는 저장된 웹페이지를 보냄
사용자는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는 한 고정된 웹페이지를 보게 됨
하나의 html 파일이 여러개의 웹페이지를 가지는 사이트.(필요에 따라 html의 내용이 변화됨)
웹사이트의 route 를 제작자가 직접 파일에 연결할 수 있음.
router를 통해 개별 파일에 접근 제한을 할 수 있음(요청 정보를 처리한 뒤 제작된 html 문서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서버에 있는 데이터들을 스크립트에 의해 가공처리한 후 생성되어 전달되는 웹페이지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을 해석하여 데이터를 가공한 후 생성되는 웹페이지를 보냄
사용자는 상황, 시간, 요청 등에 따라 달라지는 웹페이지를 보게 됨
웹 서버 외에 추가적으로 처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하다
내부 동작을 보면 web server와 storage, database사이에 preprocessor가 존재함
정적(움직이지 않는) 파일: 우리가 페이지를 만들 때 쓰임이 정해져있는 파일들이기 때문에 개발하는 단계에서 이러한 파일들을 관리한다.
css 파일, jpg 등 이미지 파일 또는 javascript 파일 같은 것 등이 정적 파일이 될 수 있습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이 media 파일입니다.
'static file'과는 다르게 사용자가 업로드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이는 개발하는 단계에서 관리할 수 없는 파일들이기 때문에 따로 분류하여 관리하게 됩니다.
참조 블로그
[정적사이트 동적사이트] https://m.blog.naver.com/azure0777/220469049820
[정적페이지 동적페이지 차이점] https://titus94.tistory.com/4
[정적파일] https://opentutorials.org/module/4034/24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