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에 신입 개발자로 입사한 "콘"은 선배 개발자로부터 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고 수정하라는 업무 과제를 받았습니다. 소스를 컴파일하여 로그를 보니 대부분 소스 코드 내 작성된 괄호가 개수는 맞지만 짝이 맞지 않은 형태로 작성되어 오류가 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수정해야 할 소스 파일이 너무 많아서 고민하던 "콘"은 소스 코드에 작성된 모든 괄호를 뽑아서 올바른 순서대로 배치된 괄호 문자열을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려고 합니다.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이 있을 경우, '(' 의 개수와 ')' 의 개수가 같다면 이를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라고 부릅니다.그리고 여기에 '('와 ')'의 괄호의 짝도 모두 맞을 경우에는 이를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고 부릅니다.예를 들어, "(()))("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지만 "올바른 괄호 문자열"은 아닙니다.반면에 "(())()"
와 같은 문자열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면서 동시에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 와 ')' 로만 이루어진 문자열 w가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이라면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1. 입력이 빈 문자열인 경우,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2. 문자열 w를 두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u, v로 분리합니다. 단, u는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로 더 이상 분리할 수 없어야 하며, v는 빈 문자열이 될 수 있습니다.
3.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 이라면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다시 수행합니다.
3-1.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u에 이어 붙인 후 반환합니다.
4. 문자열 u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니라면 아래 과정을 수행합니다.
4-1. 빈 문자열에 첫 번째 문자로 '('를 붙입니다.
4-2. 문자열 v에 대해 1단계부터 재귀적으로 수행한 결과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4-3. ')'를 다시 붙입니다.
4-4. u의 첫 번째와 마지막 문자를 제거하고, 나머지 문자열의 괄호 방향을 뒤집어서 뒤에 붙입니다.
4-5. 생성된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균형잡힌 괄호 문자열" p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주어진 알고리즘을 수행해 "올바른 괄호 문자열"로 변환한 결과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p | result |
---|---|
"(()())()" | "(()())()" |
")(" | "()" |
"()))((()" | "()(())()" |
입출력 예 #1
이미 "올바른 괄호 문자열" 입니다.
입출력 예 #2
")("
""
""
이 됩니다."("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
로 변환됩니다.입출력 예 #3
"()"
"))((()"
"))(("
"()"
"()"
이 반환됩니다."()"
이 됩니다."("
+ "()"
+ ")"
+ "()"
이며, 최종적으로 "(())()"
를 반환합니다."()"
+ "(())()"
= "()(())()"
가 됩니다.def seperate(p):
left=0
right=0
r=True
ans=''
u=''
v=''
if not p:
return p
#u,v 분리 작업
for i in range(len(p)):
if p[i]=='(':
left+=1
elif p[i]==')':
right+=1
if right>left:
r=False
if left==right:
u=p[:i+1]
v=p[i+1:]
break
#3,4번 처리
if r:
ans=seperate(v)
return u+ans
else:
ans=seperate(v)
temp='('+ans+')'
u=u[1:-1]
for i in range(len(u)):
if u[i]==')':
u=u[:i]+'('+u[i+1:]
else:
u=u[:i]+')'+u[i+1:]
return temp+u
def solution(p):
answer = ''
if not p:
return p
answer=seperate(p)
return answer
‘(’
, 마지막 문자 ‘)’
이면 성공def solution(p):
if p=='': return p
r=True; c=0
for i in range(len(p)):
if p[i]=='(': c-=1
else: c+=1
if c>0: r=False
if c==0:
if r:
return p[:i+1]+solution(p[i+1:])
else:
return '('+solution(p[i+1:])+')'+''.join(list(map(lambda x:'(' if x==')' else ')',p[1:i]) ))
def check(p):
l = 0
for i in p:
if i == '(':
l += 1
else:
l -= 1
if l < 0:
return False
return l == 0
def seperate(p):
l = r = 0
for i in range(len(p)):
if p[i] == '(':
l += 1
else:
r += 1
if l > 0 and l == r:
return p[:i+1], p[i+1:]
def solution(p):
if p == '':
return p
u, v = seperate(p)
if check(u):
return u + solution(v)
return f"({solution(v)}){''.join([i == ')' and '(' or ')' for i in u[1:-1]])}"
조금 더 생각해보고 불필요한 코드를 줄여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