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Certified AI Practitioner를 취득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AI 솔루션 만드는 일을 하는데 가장 적합한 자격증이라고 생각해 공부하기 시작했다. 물론 회사에서 지원해주는 시험 응시료도 한몫했다.
개인적으로는 AWS 클라우드 서비스보다는 AI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어야 취득하기 수월하다 생각한다.
높은 점수는 아니지만 시험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자료들을 정리했다.
AWS, AI 분야에 대한 필자의 지식수준:
AWS Skill Builder - AWS Cloud Practitioner Essentials
처음에 Cloud Practitioner 자격증을 취득하려고 했기에 관련 강의를 수강했다.
AWS Skill Builder 사이트에서는 AWS 서비스, 자격증에 대한 기초 강의와 연습문제를(무료는 일부) 제공한다. 영어 강의이고 한국어 자막을 제공한다. 강의만 들으면 개념이 머릿속에 둥둥 떠있는 느낌인데, 이럴 때 깃헙의 강의자료를 추천한다.
AWS 강의실 - 쉽게 설명하는 AWS 기초강의
AWS 분야에서는 굉장히 유명하신 분이다. 특히 한국어로 예를 들어가며 네트워크의 통신 과정을 설명해 주는 게 가장 도움이 많이 되었다.
AI Practitioner 자격증에서 요구하는 지식수준보다 더 깊고 넓은 내용을 다룬다. 자격증 취득만이 목적이라면 이해하기 어렵거나 궁금한 부분만 선택해 듣는 걸 추천한다.
Exam Prep Official Practice Question Set: AWS Certified AI Practitioner (AIF-C01 - English)
AWS에서 제공하는 공식 연습 문제 20개이다. 다른 덤프를 풀다 보면 난이도가 높은 것들이 있는데, 실제 시험은 공식 문제와 비슷한 난이도였다.
Examtopics 연습 문제
무료로는 처음 30문 제 만 이용 가능하다. 준비할 당시에는 유튜브에 전체 문제가 공개된 영상이 있어 해당 영상으로 공부했다. 유튜브에 “AI Practitioner Exam Questions” 키워드로 검색해 보기 바란다.
이외에도 Udemy 덤프 3-4개 정도를 더 공부했다. 덤프와 유사한 문제가 많았기에 기출문제 풀이를 추천한다.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공부해야 할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면 시험 안내서의 시험 출제 범위를 확인해 보길 바란다. 필자도 시험을 준비할 때에는 너무 뻔한 얘기라 생각해 대충 읽고 넘어갔는데, 후기 글을 작성하며 다시 보니 기출문제에서 다루는 내용과 굉장히 유사했다.
AWS 서비스가 굉장히 방대한데 AI Practitioner 시험에서는 아래 3가지가 집중적으로 출제되었고, 나머지 AI/ML 관련 서비스들은 큰 특징만 알아도 충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