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개념인 쿠키, 세션, 토큰, 캐시에 대해서 알아보자.
REST란?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어로, 웹 서비스를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REST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위한 일련의 원칙과 제약 조건을 제시합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자바나 C언어와 같은 언어를 이용해 작성한 코드의 집합이라는 것이다.프로그램은 실행되기 전까지는 정적인 상태이며, 하드 디스크, SSD, 서버 등의 저장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프로세스는 운영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한 메커니즘으로 프로세스 간 데이터 공유와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독립된 프로세스간에 통신을 위하여 커널 영역에서 IPC라는 내부 프로세스간 통신을 제공하게 되고, 프로세스는 커널이 제공하는 IPC설비를 이용해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 시스템 콜 (System Call) > ### 시스템 콜이란? 운영 체제(OS)와 응용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응용 프로그램이 운영 체제의 기능을 활용하거나 하드웨어 자원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메커니즘이다.
CPU 스케줄링은 다수의 프로세스가 CPU 자원을 공유할 때 실행 순서를 관리하는 방법이다. 이 스케줄링은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대기 시간, 및 도착 시간을 고려하여 CPU에 할당되는 순서를 결정하며,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응답 시간 최소화를 목표로 한다.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업무처리의 단위.즉, 한번에 완전히 수행 완료 되어야할 데이터베이스 연산의 모음이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연산은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를 가리킨다.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에서 중복 데이터를 최소화하고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이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여러 테이블로 분할하고, 이러한 테이블 간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데이터를 더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이다.
Garbage Collection은 프로그램이 사용한 메모리 중에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객체 또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해제하는 프로세스를 가리킨다. 프로그램을 개발 하다 보면 유효하지 않은 메모리인 가바지(Garbage)가 발생하게 된다.
HTTP 클라이언트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로, 클라이언트가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HTTP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아오는 역할을 담당하여 웹 기반 서비스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