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는 데이터로부터 무엇을 얻고 싶은지에 따라 나뉘는 두 가지 타입이 있다.이미지 출처: TechTargetOLAP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분석을 위한 방법이다. 예를 들어 A회사의 상품과 매출에 대한 데이터가 있을 때, 이로부터 어느 시기
커맨드의 사용법이 궁금할 때 보통 -h/--help 옵션을 사용한다. 그러나 리눅스 distribution에 포함된 기본 명령어들에 대해선 help 옵션이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이때 man 커맨드를 활용하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위 명령어를 통
Openshift에서 동작하는 웹 서비스들에 대해 TLS인증서를 적용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지금까지는 개인적인 용도로의 인증서는 Openssl을 사용했고 공식적인 용도로는 관련 부서에 요청하면 되었기에 인증서에 대해서 신경쓸 것이 없어서 흥미로운 작업이었다. Ope
Openshift는 Red Hat이 만든 Kubernetes platform이다. Kubernetes의 수퍼셋인만큼 얘만이 갖는 resource들이 있는데 그 중 Networking resource를 살펴보고자 한다. Kubernetes의 Networking reso
이어서 vim으로 찾기, 변경하는 법 등을 알아본다.찾기(- 변경하기(- 복사 붙여넣기(- 마크(/검색문자열n, N으로 이동/는 현재 커서 뒤에서부터 찾는다는 의미이다. 커서의 앞에서 찾으려면 ?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뒤에는 당연히 regular expressio
인프라 레벨의 작업을 하면서 vim으로 여러 스크립트를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항상 사용하는 명령어만 계속 사용하는 것 같아 전체적인 사용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참고로 내가 지금까지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아래와 같았다. 대부분의 경우에 많은 사람들이 아래만으로 충분
여러 개의 서버로 구성된 클러스터를 인프라 레벨에서 관리하기 위한 툴 알아보기.파이썬 기반의 여러 서버의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도구.기존에는 환경 설정을 위한 스크립트를 각 노드에서 돌려야했지만 앤서블을 사용하면 여러 노드들에 동시에 동일한 환경을 배포할 수 있다.당연
Kubernetes evnets에 대한 이벤트 리스너를 등록하고 싶다.Event에 대한 API는 다음과 같다.Kubewatch: https://github.com/bitnami-labs/kubewatch?ref=thechiefioEventrouter: http
쿠버네티스 패턴 중 3부(구조패턴), 4부(설정패턴), 5부(고급패턴)을 다룬다.쿠버네티스를 어떻게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을까?쿠버네티스의 작동 방식의 핵심 철학은 자원의 상태를 '선언(declare)'하는 것.A deploy의 현재 Pod가 2개인 상태 (The cu
쿠버네티스 패턴 중 3부(구조패턴), 4부(설정패턴), 5부(고급패턴)을 다룬다.애플리케이션 설정을 위한 이미지 변경을 최소화 하고 싶다. 어떻게 할 수 있을까?애플리케이션의 설정을 위해서 하드 코딩하지 않고 환경 변수를 사용하는 것. 12 Factor App간단 &
쿠버네티스 패턴 중 3부(구조패턴)과 4부(설정패턴)을 다룬다. 구조패턴 쿠버네티스의 기본 단위인 Pod를 구조적으로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
성능면에서 유리병렬 프로그래밍에 유리하기 때문. C보다 쓰기 쉬움컴파일이 빠르다.라이브러리의 문서화가 잘되어있다.C 90 % + javascript 10%의 느낌알려진 것과 다르게 진입 장벽이 낮진 않음.클래스가 없고Exception이 없음 (!?)gorout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