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란 WEB browser 위에서 돌아가는 WEB site(WEB Application)를 만들게 된다. 이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WEB browser에서 여러가지 기능들 중에서 제목, 목록, 링크 등을 표시하는 기능 중에서 우리가 만들고자 하는 WEB App
Node.js Window설치
노드 macOS 설치
WEB Browser가 있고 WEB Server있으면 WEB Browser가 우리가 주소를 입력해서 요청을 하면 WEB Server는 그 요청에 따른 정보를 찾아서 응답 해주는 관계이다.Node.js도 웹서버를 만들 수 있다.Node.js로 먼저 웹서버를 만들어 보자.
Data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이것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큰 이유이다.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프로그래밍을 배우는데 있어서 어떠한 데이터가 있는가?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를 할 것인가가 중요하다.우리가 숫자라는 데이터 타입을 표현하면 자바스크립트가 제공하는
프로토콜 통신규칙이다. 즉 사용자가 서버를 접속할 때 어떤방식으로 통신할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웹브라우저와 웹서버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만든 통신 규칙이다.우리가 도메인네임이라고도 한다.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각각의 컴퓨터를 호스트라고 한다. 한대의 컴
query string
CRUD 정보 시스템의 핵심적인 메커니즘이다. CRUD는 CreateReadUpdateDelete의 약자이다. File을 node.js에서 읽는 법을 알 것이다.
다이나믹 웹페이지 여태까지 배웠던 걸로 다이나믹한 웹페이지를 만들어 볼 것이다. data 디렉토리를 하나만들고 디렉토리안에 위 화면과 같이 파일을 추가한다. 각 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원하는 내용을 추가한다. 와 조건문(Conditional statement)을 배울 것 이다.
우리가 만든 프로그램이라는 것은 프로그램을 입력을 해서 처리 후 출력을 하는것이다.입력을 말하는 여러가지 표현이 있는데 그 중 Parameter, Argument가 있다.Parameter입력되는 정보의 형식Argument그 형식의 맞게 실제 입력한 값그렇다면 node.
홈페이지에서 잘못된 경로를 입력했을 때 뜨는 Not Found 페이지를 구현해보자위 코드 중 Not Found페이지를 만드는 것만 설명해본다.먼저 pathname을 알아야한다.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여기서 pathname을 찾는 코드를 작성한다.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