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01 조별회의

권영은·2023년 9월 1일
0

스터디

목록 보기
21/27

PM : 조현래
PL : 김의중
권영은, 김지혜, 이찬수, 이초은

창고를 몇개 둘 지, 공장을 몇 개 둘 지,
창고 1당 공장이 1:1로

자재마스터 한품목에 대한 내용들을 적는 것
예를들면 위스키 하나가 최소 구매 수량, 안전구매 수량, 단위는 개수로 , 사이즈, 단위 등을...

왜 텍스트 테이블에 넣었는지 ( 이름을 )
코드는 영어니까 공통적으로 알 수 있지만 외국사람들이 봤을 때 자재를 국가별로 알 수 있도록 .

자재마스터 테이블
moq (minimum of quantity) 최소 구매량
안전 재고량 - 창고에 얼마를 둘 지
reorder point를 안잡더라도 생산하는데 필요한 최수 수량

BOM MRP
레시피 그런것들이 BOM(Bill of Material. 자재소요량) 으로 들어감
loss 는 안잡거나 BOM 으로 잡을 수 있음

FI

header 와 detail 개념을 쓰면 좋지만 어려울 수 있음.
원래 header와 detail을 한 테이블을 나눈 것
판매계획안에 아이템이 여러개 있을 수 있고 판매계획서 안에 분기별로 나눌 수도 있음

오더는 우리한테 뭘 요청한다는 주문서/ 발주서
주문오더 주문번호를 바탕으로 실제로 MM에 발주요청.

출하오더. 내부 창고에서 배송을 위한 출하지시
주문오더 .

배송업체/ 차량배차 담당기사 배송연락처


pp는 만들어진 상품에대한 노트넘버가 필요하다
노트 넘버가 필요( 모델명 )

BOM 자재 소요량
넘버링을 어떻게 할지 당장은 1밖에 없음 (구분할 ID)

profile
SAP/ ABAP Studen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