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Nginx는 Proxy server 역할도 있지만, Load Balancing 역할도 할 수 있습니다.사용해보고 싶었던 기술 중 자동적인 Nginx Health Check는 Nginx Plus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하지만 Health Check를 수동
우선 Slack에서 다른 앱들을 사용해본 적 있는 사람들은 /trello 하고 ~ 옵션대로 말 적어주면 trello 게시물이 생기고 이런 작업들을 사용해보기만 했고 만들어본 적은 없었는데..!!!마침 선택장애인 저에게 점심 메뉴 추천해달라는 미션이 매일 점심마다 찾아왔
1. 설치 pytest-django를 설치하면 자동적으로 pytest도 같이 설치됩니다. 2. pytest 설정 DJANGOSETTINGSMODULE 환경 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원하는 --settings=yourproject.settings 옵션을 명시하는 것과
stable한 버전으로 업그레이드 하고 싶은데 yum install nginx==1.22.1 하니깐 없다고 떴다.그래가지고 설치하는 방법 좀 찾았는데 간단하다.백업은 필수다. nginx를 새로운 버전으로 설치했었는데 기본 nginx.conf 파일이 초기화 되는 과정을
이전에 Nginx 정리하면서 해보지는 않았지만 간단히 포스팅 한 적 있는데 오늘 따라해보니깐 완전 산전수전~낼 회사가야 되는데 분노의 새벽 3시에 글써버리기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적 파일을 반환하는 일은 원래 웹서버가 하는 아주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정적과 동
우선 SSL이란 서버와 사용자(브라우저) 간의 통신을 할 경우 정보를 암호화하고 도중에 해킹을 통해 정보가 유출이 된다고 하더라도 정보의 내용을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인증 솔루션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보안 인증서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 HTTP(80) 접속 했을 시
보통 도메인 네임으로 가장 유명한 .com 같은 것들은 생각보다 저렴해서 놀랐다. 한 1년에 13000원 정도??하지만 지갑이 너덜한 나는 무료 사이트를 원했고 그 중에 하나 freenom 이라는 사이트가 있다!별로 인기 없는 이름이지만 도메인 연동에 초점을 맞춰 경험
로그는 모든 행위와 이벤트 정보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기록한 데이터입니다.따라서 시스템 상에서 로그를 생성하는 과정을 로깅이라고 합니다.Django를 통해 개발하면서 이러한 로그를 남기고 추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Django에서는 Python 내장 logging 모듈
curl(client url) 명령어는 프로토콜들을 이용해 URL로 데이터를 전송해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가져올 때 사용하기 위한 명령줄 도구 및 라이브러리입니다.Postman과 같이 좋은 툴이 많아 사용할 일이 없을 거 같지만, 그런 좋은 툴이 지원되지 않는 환경
트리거(Trigger)는 테이블에서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어떤 테이블에서 특정한 이벤트 DML문(update, insert, delete)가 발생했을 때, 실행시키고자 하는 추가 쿼리 작업들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게
|패키지 이름|원래 설치 버전|인터넷 버전|설치 경로| |--|--|--|--| |epel-release|epel-release-7-11.noarch.rpm|epel-release-7-11.noarch.rpm| http://mirror.centos.org/centos/
디버깅은 필수!!!우선 Django-debug-toolbar를 설치해줍니다.INSTALL_APPS 추가 django.contrib.staticfiles는 기존에 추가되어 있고, 새롭게 debug_toolbar를 추가해주면 됩니다.MIDDLEWARE 추가 debug-to
Celery Beat는 스케줄러입니다. 주기적으로 처리해야 될 작업들이 있다면 beat에게 설정만 해주고 맡기면 됩니다.시간을 기반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것인 만큼 시간에 대한 정의를 먼저 하고 넘어가야 합니다.crontab은 배치 작업을 위해 특정 시간 뿐만 아니라 특
우선 celery는 비동기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런 비동기 작업이 왜 필요한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동기는 말 그대로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요청과 그 결과가 동시에 일어난다는 약속인데, 바로 요청을 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던지 요청한 자리에
1. Nginx란 이전에 gunicorn을 이용해 서버 가동을 했다면 이제는 웹서버인 Nginx와 연동해 서비스를 꾸려나가볼 것입니다. 우선 Nginx는 트래픽이 많은 웹사이트의 서버(WAS)를 도와주는 고성능 경량 웹 서버입니다. apache의 단점들을 보완해 나온
갑자기 코드로 메일을 대신 보내준다는게 너무 신기해 바로 찾아봐 적용해봤습니다. 그리고 해당 기능을 추후에는 Celery와 엮어서도 포스팅 할 예정입니다.우선 SMTP란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전자 메일 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
아래의 코드 한 줄 이면 서버 가동부터 재시작까지 모두 다해주는 우리 runserver 평생 같이 할 줄 알았는데 Django의 내장 서버 (runserver)는 실서비스에 부적합하다. 라는 이야기를 듣고 왜인지 찾아봤습니다.이전까지 저는 runserver를 이용해 백
KMS는 key Management Service의 약자로, 데이터 암호화 할 때 사용되는 암호화 Key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관리해주는 서비스입니다.KMS는 크게 3가지 방식의 관리 서비스가 제공됩니다.AWS managed keyCustomer managed
screen은 OS 환경에서 물리 터널을 가상 터미널로 다중화하여 특정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을 백그라운드에서 돌리다가 필요하면 포어그라운드로 가져오는 명령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ubuntu (Debian 계열)centos (Redhat 계열)screen에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