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Function(함수)의 정의
- 하나의 특별한 목적의 작업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독립적인 블록이다.
- 보통 자판기에 비유를 많이한다.
2.함수의 호출
- 변수도 이름이 있듯이, 함수도 이름이 있다.
- 함수 이름을 부르면, 함수 내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 함수 이름을 부르는 것을 "함수를 호출한다" 라고 표현한다.
function checkCorrect() {
let hi = "안녕하세요";
return hi;
}
- checkCorrect라는 이름의 함수를 생성
checkCorrect();
3.함수의 형태
- 함수의 형태를 꼭 기억해야 원하는 방향으로 함수를 작성할 수 있다.

- function 키워드로 시작
- 함수 이름을 지어준다.
- 함수를 알리는 괄호()를 열고 닫는다.
- 함수의 시작을 알리는 중괄호'{'를 열어준다.
- 실행할 코드를 작성한다. 함수의 body라고 표현한다.
- return(반환)할 것이 있다면 작성한다.
- 중괄호 '}'를 닫아준다.
4.함수의 반환(return)
- 모든 함수는 값을 반환하지만 생략할 수 있다.
- 함수 내부에 return 키워드가 보이지 않으면 반환을 생략했다는 뜻이다. 이 경우 undefined라는 값을 반환한다.
- 함수가 정의될 때 return, 반환을 해주지 않으면 우리가 넣은 동전은 맨홀 밑으로 떨어진다. 맨홀 밑에 안전장치가 설치되어서 동전을 자판기에 넣으면 음료수를 튕겨서 우리손에 넣어주는 개념으로 이해했다.
5.매개변수(parameter) & 인자(argument)
- 함수가 실행될 때 데이터를 받는 과정에서 꼭 필요하다.
- 매개변수는 함수가 정의될 때 인자를 받을 자리에 변수를 선언해주는 개념이다.
- 함수를 호출할 때 인자를 넣어주면 그 인자가 함수의 파라미터 변수에 적용되서 함수 값을 반환해준다.
- 쉽게말해 인자라는 동전을 넣으면 그 조건에 맞는 음료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