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의 정수 x가 하샤드 수이려면 x의 자릿수의 합으로 x가 나누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18의 자릿수 합은 1+8=9이고, 18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8은 하샤드 수입니다. 자연수 x를 입력받아 x가 하샤드 수인지 아닌지 검사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 arr | return | 
|---|---|
| 10 | true | 
| 12 | true | 
| 11 | false | 
| 13 | false | 
입출력 예 #1
10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1입니다. 10은 1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0은 하샤드 수입니다.
입출력 예 #2
12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3입니다. 12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2는 하샤드 수입니다.
입출력 예 #3
11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2입니다. 11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1는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
입출력 예 #4
13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4입니다. 13은 4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3은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
const isHarshadNum = (num) => {
  const divider = String(num).split('')
    .reduce((a, c) => Number(a) + Number(c));
  return num % divider ? false : true;
};
console.log(isHarshadNum(113)); // false
console.log(isHarshadNum(28)); // false
console.log(isHarshadNum(10)); // true
console.log(isHarshadNum(24)); // true
- argument가 number일 경우 문자열로 바꿔줘야 method 사용 및 chain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String(param)으로 시작
 - 문자열을 하나하나 나누는 split(''), 나눠진 숫자를 정수로서 덧셈(reduce)
 - argument를 각 자리수의 합으로 나누어 하샤드 수인지 판별
 
const isHarshadNum = (num) => {
  return num % [...num + '']
    .reduce((a, c) => Number(a) + Number(c)) ? false : true;
};
console.log(isHarshadNum(113)); // false
console.log(isHarshadNum(28)); // false
console.log(isHarshadNum(10)); // true
console.log(isHarshadNum(24)); // true
- 펼침연산자(spread operator)를 사용하여 문자를 분리
 - 빈 문자열을 합치면 타입 컨버전이 생기는 꼼수를 이용해서 정수를 문자로 바꿈
 - 결과값의 변수 할당 없이 삼항 연산자로 boolean값 반환
 
function Harshad(n){
  return !(n % (n + "").split("").reduce((a, b) => +b + +a ));
}
별도의 조건문 없이 !(NOT) 연산자만을 사용해 결과를 도출
reduce의 parameter들 앞에 + 부호를 붙여 숫자로 타입 컨버전 한 것이 재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