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컴퓨터의 논리와 구조

오늘은·2022년 9월 23일
0
post-thumbnail

하드웨어

논리적 구조: 컴퓨터가 어떤 부분으로 이뤄지며 하는 일과 연결되는 것
물리적 구조: 각 부분의 생김새와 제작과정을 나타냄

컴퓨터란 무엇인지 이해하는 과정
컴퓨터란 무엇인가 - 내부 관찰 - 각 부분의 담당파트 - 약어와 숫자 등 의미 파악


PC

IBM이 1981년에 처음 판매한 IBM PC에서 시작.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 컴퓨터로 MS의 window, Apple의 Mac이 존재

스마트폰, 태블릿, 전자책 등의 기기도 고성능 컴퓨터의 일종
사용 목적이 다르기도 하지만 내부 작동원리는 동일

논리적 구조로는 과거와 매우 비슷한 형태를 갖춘다.
하지만 물리적 구조에서는 훨 안정적이고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다.
➡ 사물의 기능, 물리적 속성간의 차이를 인지하는 것이 중요
* (하드웨어의 성능과 소프트웨어의 성능차)



하드웨어

본체, 모니터,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등등 외형을 가진 기계.
쉽게 말하면 사람이 손으로 만질 수 있는 물체들을 의미한다.
화면을 보여주거나, 입출력이 가능한 것이 특징 (이걸 수행하는 것이 소프트웨어일 뿐 최종적으로 수행되는 곳은 하드웨어!)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논리적 장치물리적 장치
사용자와 인터페이스를 자연스럽게 하기 위해 운용시스템이 제공하는 가공물
실제로 존재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논리적 장치를 통해 입출력을 행한다.
운용시스템은 논리적 장치를 물리적 장치에 할당함으로써 사용자의 입출력 요청을 충족시킨다.
논리적 장치에 대응되는 것으로 실제 하드웨어 장치.

출처 - TTA 정보통신 용어 사전

*운용 시스템
OS라 불리기도 하며 통신 관리망의 구성요소

정리

논리적 장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내부에서 처리되는 과정을 수행
물리적 장치: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장치

사용자 - 물리적 장치 변화 - 논리적 장치 수행 - 논리적 장치 출력 - 사용자에게 전달

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
게으르지만 기록은 하고싶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