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4. 가로세로 1cm 프로세서 칩

오늘은·2022년 9월 26일
0

썸네일

하드웨어 장치의 역사

노트북용 하드디스크는 10~20년전과 비슷하다. 용량은 10~100배 늘어났지만 외관은 비슷하게 생겼다.
SD카드 역시 용량과 가격은 변화하였으나 외관은 비슷하게 생겼다.
물론 최근에는 마이크로sd카드도 대중화 되었음

컴퓨터 회로기판은 발전이 명확하다.
외관을 봐도 부품수도 줄어들며 20년전 보다 많은 회로가 내부에 존재하며 배선이 미세해지고 연결 핀의 개수가 많고 조밀하다.

- Pixabay 회로기판 사진

밝게 인쇄된 부분이 다양한 버스 전선이다.
전자회로는 몇가지 기본 소자가 모여 만들어진 모습으로 기본적인 소자는 논리게이트이다.

논리 게이트

한개 or 두개의 입력값을 바탕으로 단일 출력 값을 계산하며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제어한다. (이는 모두 전압, 전류)

회로 소자에서 가장 핵심 부분은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스위치 역할 수행

논리게이트가 개별 부품으로 만들어지던 시절이 있었다.
전구와 비슷한 진공관 - 지우개 사이즈의 트랜지스터 - 프로세서 칩 으로 발전
논리게이트는 집적회로상에서 만들어지며 이는 보통 칩, 마이크로칩 이라 불린다.
집적회로는 모든 소자와 배선이 평면 위에 올라가며, 복잡한 광학적, 화학적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원형 웨이퍼 상에서 한번에 제조됨, 반도체 만들때 원형판이 이것)

집적회로 칩은 가운데에 프로세서가 위치하고 프로세서를 핀이 박힌 패키지에 장착된다.



단어장

집적회로: 반도체로 만든 전자회로의 집합
여기서 말하는 프로세서 칩은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독립된 요소를 하나의 칩으로 만든 것을 의미한다.

반도체를 원형 웨이퍼로 만드는 이유

제작시 실리콘 용액을 붓는 과정이 존재하는데, 붓고 회전하여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된다.
중심점에서 모든 위치의 길이가 같은 원은 균일하게 분포가 되지만 사각형의 경우 거리에 따라 양이 달라질 수 있어 저품질의 웨이퍼가 나올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제작 중에 가장자리 파손의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출처

원형의 수율 + 파손 가능성 < 고품질 웨이퍼 의 가치가 있어 위 방식을 채택한 것이 아닐까?

profile
게으르지만 기록은 하고싶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