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정리 - L3 스위치

HakJin Kim·2023년 6월 8일
0

[L3 스위치]

  • 멀티 스위치/L3스위치는 기본 L2상태이다.
  • 하지만 명령어를 통해 L3 상태로 바꾸어줄 수 있고 라우팅까지 해줄 수 있다.

[L3로 변경]

Switch(config)#int fa0/24
Switch(config-if)#no switchport
Switch(config-if)#ip address (IP주소) (S/M 주소)
  • 이 명령어를 통해 해당 포트를 L3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바꿀 수 있다.

[라우팅 기능]

Switch(config)#ip routing
  • 이 명령어를 통해 해당 스위치가 라우팅을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 명령어 실행 후 show ip route로 라우팅 테이블을 가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

주의)
L3 스위치는 L2기능과 L3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즉, no switchport 모드에서기존 int fa0/0.100 명령어를 통한 Sub-interface를 설정해줄 수 없는데 이 경우 VLAN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가상인터페이스 생성]

Switch(config)#vlan 100
(생성 후)
Switch(config)#int vlan 100
Switch(config-if)#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 int vlan 100 명령어 즉,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VLAN에 주소를 할당해줄 수 있다.

정리)
1. L3 스위치의 기본 상태는 L2 상태이다.
2. 이 상태에서 VLAN 생성은 가능하지만 Trunk 모드로 진입할 수 없다.
3. 기존 라우터에서 VLAN에 주소할당은 int fa0/0.100 명령어 즉 서브 인터페이스를 통해 주소를 할당 해주었다.
3-1. 하지만 L3 스위치는 서브 인터페이스가 생성 되지않으므로 int vlan 100 명령어 즉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VLAN에 주소를 할당해줄 수 있다.
4. 결론적으로 L3 스위치 안에서 L2와 L3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no switchport) 둘 중 하나만 사용 가능하다.


[실습]


  1. 해당 토폴로지에서 VLAN502, VLAN40이 형성된 멀티 스위치(Router1)VLAN200, VLAN30이 형성된 멀티 스위치(Router2)이 있다.
  2. 11시 멀티 스위치(Router0)는 라우팅을 하는 상태이다.
  3. 이때 Router0-Router1-Router2 순으로 연결되어있는데 Router2의 VLAN 정보를 Router1에 추가해야하는가?
  4. 추가해야한다-> 왜냐하면 라우팅을 위해 Router0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Router2의 데이터 정보를 Router1이 식별해야하므로
  5. 결국 Router2-VLAN200, 30 / Router1-VLAN 502 40, 200, 30 가 형성되어야 VLAN끼리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깨알메모]

  1. VLAN 형성 자체가 메모리를 잡아 먹는가?
    X 잡아먹지 않는다.
  2. 안쓰는건 꼭 삭제를 해야하는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생성된 목적이 있으므로 함부로 삭제하지않는다.

[VLAN 생성 및 포트 할당]

(case1) - 정석
vlan 100
int fa0/1
sw mod acc
sw acc vl 100
(case2) - 생성과 동시에 acc 활성화
int fa0/1
sw acc vl 100

[트러블 슈팅]

  •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해결 (= 문제해결)
  •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 중 가능성이 높은 순으로 차례대로 해결/제거 해나가는 과정

[마이그레이션]

  • 한 OS에서 더 나은 OS로 옮기는 과정, 보통 새 H/W나 S/W에 대해 실시함.
profile
처음 시작하는 사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