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itch(config)#int fa0/24
Switch(config-if)#no switchport
Switch(config-if)#ip address (IP주소) (S/M 주소)
Switch(config)#ip routing
show ip route
로 라우팅 테이블을 가진것을 확인할 수 있다.주의)
L3 스위치는 L2기능과 L3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다.
즉,no switchport 모드
에서기존int fa0/0.100
명령어를 통한 Sub-interface를 설정해줄 수 없는데 이 경우 VLAN의 게이트웨이를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Switch(config)#vlan 100
(생성 후)
Switch(config)#int vlan 100
Switch(config-if)#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int vlan 100
명령어 즉, 가상 인터페이스를 통해 VLAN에 주소를 할당해줄 수 있다.정리)
1. L3 스위치의 기본 상태는 L2 상태이다.
2. 이 상태에서 VLAN 생성은 가능하지만 Trunk 모드로 진입할 수 없다.
3. 기존 라우터에서 VLAN에 주소할당은int fa0/0.100
명령어 즉서브 인터페이스
를 통해 주소를 할당 해주었다.
3-1. 하지만 L3 스위치는 서브 인터페이스가 생성 되지않으므로int vlan 100
명령어 즉가상 인터페이스
를 통해 VLAN에 주소를 할당해줄 수 있다.
4. 결론적으로 L3 스위치 안에서 L2와 L3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no switchport
) 둘 중 하나만 사용 가능하다.
- 해당 토폴로지에서
VLAN502, VLAN40이 형성된 멀티 스위치(Router1)
와VLAN200, VLAN30이 형성된 멀티 스위치(Router2)
이 있다.- 11시 멀티 스위치(Router0)는 라우팅을 하는 상태이다.
- 이때
Router0-Router1-Router2
순으로 연결되어있는데 Router2의 VLAN 정보를 Router1에 추가해야하는가?- 추가해야한다-> 왜냐하면 라우팅을 위해 Router0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Router2의 데이터 정보를 Router1이 식별해야하므로
- 결국
Router2-VLAN200, 30
/Router1-VLAN 502 40, 200, 30
가 형성되어야 VLAN끼리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하다.
(case1) - 정석
vlan 100
int fa0/1
sw mod acc
sw acc vl 100
(case2) - 생성과 동시에 acc 활성화
int fa0/1
sw acc vl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