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 정리 - 라우터, 정적 라우팅

HakJin Kim·2023년 6월 7일
0

[UTP케이블]

  • 기본 디폴트는 T-568B이며
    - 같은 계층 장비 연결시 크로스 오버(568A-568B),
    - 다른 계층 장비 연결시 스트레이트(568B-568B)로 연결

[라우터]

  • 라우터의 슬롯은 오른쪽부터 S0, S1순으로 진행되며 SO 안의 슬롯 순서는 그림과 같다.
  • 또한 슬롯 안의 포트 번호는 위에는 0, 아래는 1이다.
  • 즉, 사진 속 시리얼 번호는 Se0/0/0과 Se0/0/1이다.

cf)
1계층 장비는 연결하자마사 살아나고
2계층 장비는 생각한 뒤 살아나며(ex. 스위치 설정 후 30초 대기)
3계층 장비는 따로 설정해주어야 살아난다.(ex. 라우터의 Shutdown)

[라우터 설정]

  • 기존 구조에서 먼저 설정해주어야 할 것은 라우터의 연결이다
  • 우선 라우터 간의 연결을 해주기 위해 해당 명령어를 실행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 또한 반대 라우터도 마찬가지로 설정을 해주어야한다.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address 1.1.12.2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 라우터 간의 설정이 완료되었으니 각 라우터-스위치 간의 설정 또한 해주어야한다.

{왼쪽}

Router(config-if)#int fa0/0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오른쪽}

Router(config-if)#int fa0/0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2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 마지막으로 각 네트워크 PC에 정적 IP 할당과 S/M, G/W를 설정해주면 라우팅 실습 준비 끝이다.

[라우팅]

  • 위의 실습을 끝냈다면 윗 사진처럼 3개의 네트워크가 형성 되어있다.
  • 네트워크는 형성되어있지만 각 네트워크 간의 연결이 불가능하다.
  • 왜냐하면 구성 자체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한 구성이지만 통신을 위한 라우터 설정을 하지않은 상태이기 때문이다.
  • 그러므로 이를 위해 Routing을 해주어야 한다.

[Static Routing]

{라우팅 테이블 확인 명령어}

Router(config)#do show ip route


{라우팅 설정}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12.2

  • 오른쪽 라우터로의 라우팅 설정을 해준뒤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via~로 추가된 모습을 볼 수 있다.
  • 왼쪽 라우터에서 라우팅을 해주었다면 반대로 오른쪽 라우터에서도 라우팅을 해주어야한다.
  • 여기까지 설정했다면 이제 왼쪽 네트워크와 오른쪽 네트워크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다.

    정리)

    1. ip route (라우팅하려는 IP주소)(서브넷마스크)(넥스트 홉 주소)
    2. 한쪽 라우터에서 설정을 해주었다면 반대 라우터 또한 설정해주어야함.

{라우터 3개에서의 라우팅}

  • 라우터 3개의 설정과정은 비슷하지만 라우팅의 설정법은 약간 다르다.
  • 왼쪽부터 Router1, Router2, Router3이라고 보자.
  • Router1에서 Router2와 Router3을 연결하고자 하면 넥스트 홉(1.1.12.2) 을 통해 Router2, Router3 네트워크를 통해 가므로 설정해야할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12.2 -> Router 2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30.0 255.255.255.0 1.1.12.2 -> Router 3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1.23.0 255.255.255.0 1.1.12.2 ->Router 3으로 가기 위한 경로 라우팅
  • Router 2는 Router 1, Router 3가 서로 넥스트홉 구간에 있으므로 설정해야할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Router(config)#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12.1 -> Router 1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30.0 255.255.255.0 1.1.23.2 -> Router 3에 대한 라우팅
  • 마지막으로 Router3도 Router 1과 비슷한 양식이므로 설정해야할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Router(config)#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23.1 -> Router 1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23.1 -> Router 2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1.12.0 255.255.255.0 1.1.23.1 ->Router 1로 가기 위한 경로 라우팅

정리)
라우팅 구간은 넥스트 홉까지밖에 안되므로 해당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경로까지 라우팅을 해주어야 한다.


[Router Protocol Static]

  • 라우팅 장비의 구성은 일반 라우터와 L3 스위치가 있다.
  • 먼저 일반 라우터에서 설정되어야 할 것들은?
  1. 가장 왼쪽의 라우터(Router0) 경우 일반 PC와 VLAN PC가 연결되어있다. 이말인즉슨 해당 라우터는 일반 네트워크와 VLAN 네트워크를 둘 다 다루어야함.

  2. 우선적으로 Router0에서 설정하기 쉬운건 192.168.10.0/24에 대한 정보(Fa0/0과 PC2에 해당 정보 삽입)와 연결된 스위치 사이의 선을 Trunk Mode로 변경해야함.

  3. 다음으로 VLAN에 대한 정보이다. 우선 해당 스위치에 VLAN 100 생성 및 VLAN으로 설정할 PC 포트를 VLAN 100에 설정

  4. b에서 언급한 트렁크 모드를 설정해주고 VLAN 100에 대한 PC에도 VLAN 주소를 삽입.

  5. 마지막으로 Router0에서 VLAN 100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해당 명령어 삽입

- int fa0/0.100
- encapsulation dot1Q 100
- ip address 172.168.10.1 255.255.255.0

  • 여기까지 됐다면 Router0과 PC0~2는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
  • 이제 라우팅을 해주기 위해선 192.168.10.0/24 주소 말고도 172.16.10.0/24 주소까지 고려해주어야 함.
    (->왜냐하면 Router0에는 일반 네트워크와 VLAN 네트워크 두 개가 존재하기 때문에)

  • 그렇다면 L3 스위치에서 설정해야할 것은?
  1. VLAN 200에 대한 라우팅 역할 스위치(라우팅 역할 스위치)와 연결된 스위치(L2 역할 스위치)에 VLAN 200을 만들어주고
  2. 라우팅 스위치와 L2 역할 스위치 사이가 Trunk Mode로 설정되어야함.
- L3 스위치는 처음에 L2 모드이므로
- sw trunk encapsulation….
- sw mod trunk
  1. L3 스위치는 일반 라우터의 서브 Interface(dot1Q)를 설정해주지 못하고 가상 Interface(int vlan 100)을 통해 해당 VLAN 주소를 입력해주어야 해당 스위치에서 VLAN에 대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음.
- int vlan 200
- ip address 172.16.20.1 255.255.255.0
  1. 여기까지 됐다면 라우팅 역할 스위치와 PC7~8은 서로 통신 가능한 상태

  • 결론
    • 한 라우터 안에 물리적으로 연결 된 네트워크와 VLAN으로 설정된 네트워크가 있다 하더라도 이것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보는것이 아닌 각자 다른 네트워크로 인식한 상태에서 라우팅을 해주어야 한다.
    • 또한 일반 라우터와 L3 스위치의 VLAN 설정법은 서로 다르므로 장비에 맞는 설정법을 인식/숙달 해야한다.
profile
처음 시작하는 사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