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f)
1계층 장비는 연결하자마사 살아나고
2계층 장비는 생각한 뒤 살아나며(ex. 스위치 설정 후 30초 대기)
3계층 장비는 따로 설정해주어야 살아난다.(ex. 라우터의 Shutdown)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address 1.1.12.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Router(config)#int se0/0/0
Router(config-if)#ip address 1.1.12.2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왼쪽}
Router(config-if)#int fa0/0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1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오른쪽}
Router(config-if)#int fa0/0
Router(config-if)#ip address 192.168.20.1 255.255.255.0
Router(config-if)#no shutdown
{라우팅 테이블 확인 명령어}
Router(config)#do show ip route
{라우팅 설정}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12.2
정리)
- ip route (라우팅하려는 IP주소)(서브넷마스크)(넥스트 홉 주소)
- 한쪽 라우터에서 설정을 해주었다면 반대 라우터 또한 설정해주어야함.
{라우터 3개에서의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12.2 -> Router 2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30.0 255.255.255.0 1.1.12.2 -> Router 3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1.23.0 255.255.255.0 1.1.12.2 ->Router 3으로 가기 위한 경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12.1 -> Router 1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30.0 255.255.255.0 1.1.23.2 -> Router 3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10.0 255.255.255.0 1.1.23.1 -> Router 1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92.168.20.0 255.255.255.0 1.1.23.1 -> Router 2에 대한 라우팅
Router(config)#ip route 1.1.12.0 255.255.255.0 1.1.23.1 ->Router 1로 가기 위한 경로 라우팅
정리)
라우팅 구간은 넥스트 홉까지밖에 안되므로 해당 네트워크로 가기 위한 경로까지 라우팅을 해주어야 한다.
가장 왼쪽의 라우터(Router0) 경우 일반 PC와 VLAN PC가 연결되어있다. 이말인즉슨 해당 라우터는 일반 네트워크와 VLAN 네트워크를 둘 다 다루어야함.
우선적으로 Router0에서 설정하기 쉬운건 192.168.10.0/24에 대한 정보(Fa0/0과 PC2에 해당 정보 삽입)와 연결된 스위치 사이의 선을 Trunk Mode로 변경해야함.
다음으로 VLAN에 대한 정보이다. 우선 해당 스위치에 VLAN 100 생성 및 VLAN으로 설정할 PC 포트를 VLAN 100에 설정
b에서 언급한 트렁크 모드를 설정해주고 VLAN 100에 대한 PC에도 VLAN 주소를 삽입.
마지막으로 Router0에서 VLAN 100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기 위해 해당 명령어 삽입
- int fa0/0.100
- encapsulation dot1Q 100
- ip address 172.168.10.1 255.255.255.0
- L3 스위치는 처음에 L2 모드이므로
- sw trunk encapsulation….
- sw mod trunk
- int vlan 200
- ip address 172.16.20.1 255.255.255.0
- 결론
- 한 라우터 안에 물리적으로 연결 된 네트워크와 VLAN으로 설정된 네트워크가 있다 하더라도 이것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보는것이 아닌 각자 다른 네트워크로 인식한 상태에서 라우팅을 해주어야 한다.
- 또한 일반 라우터와 L3 스위치의 VLAN 설정법은 서로 다르므로 장비에 맞는 설정법을 인식/숙달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