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 정리-실제 장비 실습, Xming 설치, Telnet Server

HakJin Kim·2023년 8월 8일
0

윈도우 OS에서의 Putty 및 Xming 설치

  •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을 통해 Putty와 Xming을 설치
  • 윈도우---Putty---CentOS SSH 접근시 X11Enable X11 Forwarding체크
  • 윈도우에서 GUI 환경을 사용하려면 Xming을 설치 및 실행해야한다.
  • Xming 실행 후 Putty의 CLI환경으로 접속하고 해당 명령어를 실행한다면 Xming 프로그램을 통해 GUI 환경으로 접속 가능하다.
#vmware &

#virt-manager

서버

  •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
    = 서버
  •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체
    = 클라이언트

데몬이란?

  • 서비스
  • 주 기억장치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

서버에서의 데몬 운영방식?

1. 독립 방식(Stand alone 방식)

말 그대로 데몬을 독립적으로 실행시키는 방식

  • 하드디스크에 있는 ssh.d라는 프로그램을 systemctl restart ~ 명령어로 실행시키면 주 기억장치에서 휴먼상태 중인 ssh.d 프로그램이 실행
    (클라이언트가 직접 서버에 요청)
  • /etc/init.d/*

2. 슈퍼 데몬 방식((X)inetd)

데몬을 관리하는 데몬

  • 항상 실행되는 xinetd가 클라이언트로부터 실행 요구를 받으면 요청한 서비스를 인식하여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켜 서비스를 제공한다.
    (클라이언트가 슈퍼데몬에게 요청, 슈퍼데몬은 서버에게 요청하며 요청에 대한 응답은 역순)
  • /etc/xinetd.d/*

cf.1) 보조기억장치에 있는 파일이 주 기억장치로 올라가 실행된다.

  • 여기서 주 기억장치에 올라가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일컫는다.
    프로세스는 서비스를 위해 실행되는 것 = 즉, 프로세스는 데몬이라 말할 수 있다.

cf.2) 가상화

  1. 물리적인 실제 RAM 용량으론 서버의 프로그램을 돌리기엔 부족함
    = 가상화의 등장 배경
  2. 그렇다면 가상 메모리의 위치는?
    = HDD같은 보조기억장치의 저장공간을 이용한다.
    = 가상화에선 보조기억장치의 저장공간도 중요하다.
  3. 그렇다면 주기억장치의 임시 메모리는?
    = 버퍼

시스템

Secure linux
(setenforce)

===
방화벽
(firewalld=GUI모드 지원)
(iptables=CLI모드 지원)

===
TCP Wrapper
(서비스별 ACL 시스템)

===
PAM

===
///여기까지 서버 자체에서 차단///

===

서버 내의 서비스

(커널 내부의 netfilter = 진짜 방화벽)


Telnet Server

/etc/init.d의 디렉터리

/etc/xinetd.d의 디렉터리

1. 프로그램 설치

<서버 설치>
#yum -y install telnet-server.x86_64 
<클라이언트 설치>
#yum -y install telnet
<슈퍼데몬 설치>
#yum -y install xinetd.x86_64 

1-1. telnet 설정

# cd /etc/xinetd.d

#yum -y install tftp-server.x86_64	<= 에디터 양식을 위해
#cp tftp telnet						   다운로드 및 파일 복사
#vi telnet

### 복사 후 붙여넣기를 한다면 Connection closed by foreign host. 오류가 뜰 수 있다.
일일이 타이핑하는것을 권장
  • tftp 서버 설치 후 생성된 tftp 파일

  • vi telnet으로 telnet에 대한 설정 세팅

2. 데몬

<서버>

#systemctl restart xinetd

[cf]
telnet.socket  <== Stand Alone 방식
in.telnetd	   <== Xinetd 방식
  • server2에서 server1으로 telnet 접속한 모습
    (이때 server2에서 telnet 패키지를 설치해야함)

3. 데몬 시작

#systemctl restart telnet.socket	<== Stand Alone 방식
#systemctl restart xinetd			<== Xinetd 방식

4. 포트 변경

<전체포트 변경>
/etc/services

- telnet의 포트번호 23을 2323으로 변경
  • /etc/services의 내용
    (Telnet의 포트번호 23을 2323으로 바꾼뒤 저장)

  • restart xinetd 뒤 클라이언트 서버에서 telnet 192.168.~~ 2323으로 접속시 접속 가능하다.

<개별포트 변경>
vi /usr/lib/systemd/system/telnet.socket

- telnet의 포트번호 23을 2323으로 변경
  • telnet.socket의 ListenStream 번호를 2323으로 변경

  • 클라이언트에서 접속시 telnet의 포트번호를 2323으로 설정하여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접속 가능하다.

5. root계정 원격 접속(telnet) 허용

#vi /etc/securetty
  • vi /etc/securetty의 모습
  • pts/n을 추가하여 n명에 대한 접속을 허가시킴
  • telnet의 root 계정으로 접근하여 접근이 성공한 모습
profile
처음 시작하는 사람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