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네트워크(라우터, 스위치) 과 시스템(CPU, RAM, LAN)의 운용/관리 > [사용자] ~ ~ [응용프로그램=운영체제를 직접 제어할 수 없으므로 대신 제어하는데에 목적] ~ ~ [운영체제(OS)=운영체제도 일종의 응용프로그램] ~ ~ [H/W] 정리 시
내부 명령어쉘 명령어외부 명령어쉘 명령어를 제외한 모든 명령어cf)숨김 파일 : .test.txt숨김 디렉터리 : .testroot@localhost / = / = 최상위 디렉터리root@localhost ~bash: cd: home: 그런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없습니다
find -mtime -2 find -mtime 2 find -mtime +2 vi 에디터를 직접 실행한 상태파일 내용을 수정하는 도구모드형 편집기a. 명령 모드b. 편집 모드c. 실행 모드진입키: i, a, o.....I, A, O저장은 명령모드로 빠져 나가야 가능
ifconfig ss (NIC 정보) ip addr route -n (게이트웨이 확인옵션 n) 41번째 줄의 (USER)를 test 변경 (test 유저명이 안먹히므로 test_server로 변경) TigerVNC 윈도우버전 설치 후 실행 TigerVNC 윈도우로 접
블록스토리지 리스트 확인 물리적 볼륨 / PV (Physical Volume) 실제 디스크 장치를 분할한 파티션된 상태를의미한다. PV는 일정한 크기의 PE들로 구성된다. 물리적 확장 / PE (Physical Extent) PV를
RAID (Redundant Array Inexpensive Disks) 구성(Level) 될 수 있으면 같은 용량을 묶어주어야 함. Linear 순차저장(LVM) 0 스트라이핑(분산) 저장 방식, 복구불가 1 미러링 저장 방식, 용량의 절반밖에 사용 못함 2
gzip bzip2 ![](https://velog.velcdn.com/images/orangestar/post/74599862-ee79-4c0a-8e
소유권 / 허가권식별(Authentication)= 클라이언트가 Account와 Password를 가지고 서버에 검증을 요구하는 절차인증(Identification)= 서버가 받은 Account와 Password를 검증한 뒤 클라이언트에게 인정하는 절차권한 부여(Aut
기본 그룹명령어로 기본 그룹 삭제 X일반 그룹\`---\`---\`---\`---\`---\` /etc/passwd 파일에 내용추가 /etc/group 파일에 내용추가 /etc/shadow 파일에 내용추가(편집기 이탈시 :wq!) 정상적으로 계정 접속이 가능리눅스에서의
khj1 계정이 file7을 읽는것까진 가능하지만 수정 및 저장을 하려고하면 해당 오류가 뜸(이때 khj1은 제 3자) khj1 계정을 khj 그룹에 추가 시킨뒤 다시 수정 및 저장을 하면 정상적으로 수정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이때 khj1은 소유그룹 소속)cp -
주기적인 스케줄링= cron일시적인 스케줄링= anacron, at 매일 11시 43분 home 디렉터리에 있는 cron.sh을 실행 cron.sh의 내용 :etc 디렉터리에 있는 passwd 파일을 home 디렉터리에 복사 cron 테이블에 있는 목록을 보여준다. c
해당 프로세스 개별삭제가 아닌 전체삭제로그 파일명 : /var/run/utmp시스템 로그 저장 경로 : /var/log<로그파일명 : btmp> <- 실패한 로그인 시도 기록
실제 장비 실습 준비사항 1: CentOS 설치 1) 브릿지모드 2) 디스크 100G, 프로세서 4, RAM 8G 준비사항 2: 서버역할의 PC IP세팅 (Static 기준) 1) 멀티스위치-서버 포트 : 110.110.110.1 2) 서버 PC의 윈도우 : 110
윈도우 OS에서의 Putty 및 Xming 설치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인터넷을 통해 Putty와 Xming을 설치 윈도우---Putty---CentOS SSH 접근시 X11의 Enable X11 Forwarding체크 윈도우에서 GUI 환경을 사용하려면 Xmi
wait과 disable 둘 다 no로 설정 서버-서버 접근이 가능한 모습 서버-클라이언트 접근이 가능한 모습FTP 20번(data) 21번(control) = 인증 가능 (ID/Password)anonymous FTP = 인증 가능 (ID:anonymous, Pas
ftpusers : PAM 인증 모듈 접근 제한user_list : vsftpd 서버 접근 제한(= 이 리스트에 등록된 사용자는 차단이 된다.)server2 등록 후 해당 계정으로 접근을 시도할 경우 로그인이 거부된다.두 곳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방화벽 서비스 추가는
Network File System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저장공간을 이용할 수 있는 공유 기술 nfs3 디렉터리는 192.168.0.181 클라이언트만 접속 가능 ~.181 주소 외에는 접근 불가
69번 포트인증기능 XUDPControl 21, Data 20인증기능 O (ID:password) TCPFTP 포트와 동일인증기능 O (ID=anonymous, passwd=Email)TCP일반 사용자를 위해 + 방화벽 문제 때문에 Active mode : 서버가 접속
/etc/vsftpd디렉터리 아래의 ftpusers, userlist 파일에 등록된 사용자를 허용시켜주기(ftpusers와 userlist에 등록된 사용자는 ftp로 접근이 불가능하다.)해당 설정 자체가 ftpusers와 userlist에 있는 계정들을 차단하는 설정
각 서버로 서브 도메인을 통해 접속 가능 윈도우에서도 동일하게 접근이 가능하다.마스터-슬레이브 관계를 통해 DNS 서버의 이중화를 구현 /var/named/slaves 디렉토리에 마스터 서버에서 받아온 zone 파일(동기화를 통해 Zone 파일을 백업함)(마스터 서버
mysql -p mysqlshow databases;flush privileges;INSERT, DELETE, UPDATE를 통해 사용자를 추가, 삭제, 권한 변경 및 권한부여를 했을 때 수정사항을 반영하는 명령어 conn 명령어 줄의 사용자를 root->test1으로
실습 2. 마스터 1대 - 슬레이브 2대 연동 마스터-슬레이브 연동 과정은 동일하나 마스터에서 슬레이브 접근 계정을 서로 다르게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2개의 계정을 만들어주어야한다. 중간에 2nd 슬레이브를 연동시켜줄 시 마스터의 bin파일이나 position값이 설
웹 하드 및 클라우드 구축 설치
A에게 보낸 메일을 B에게 보내는것여러 사이트에서의 메일을 한 사이트 메일로 받고 싶을때 test1에 보낸 메일이 test2, test3 계정이 받은 모습 반면에 test1 계정에는 보낸 메일이 수신되지 못함 test1->test2->test3->ytn순으로 포워딩 설
서비스 시작/중지/종료 방화벽 INPUT ACCEPT : 접근하는 패킷 통제 OUTPUT ACCEPT : 떠나는 패킷 통제 FORWARD ACCPET : 통과하는 패킷 통제 텔넷 > 응용 -A RH-Firewall-1-INPUT -m state --state N
DEF라우터 삭제 및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역 설정초기 설정시 ens36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없다. CentOS 내부에서 해당 이름과 MAC주소를 매칭시켜주고 적용을 한다면 인터페이스가 생성된다.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복사 및 NAME, DEVICE, UUID 수정(네트
UTM 중점 메뉴 1. 관리 시스템설정- 셸 엑세스 웹어드민 - 허용된 네트워크(Admin 접속 IP 설정), 액세스 제어 종료/다시시작 2. 정의 및 사용자 네트워크, 서비스, 기간 정의 (정책 설정간 편의성 목적) 3. 인터페이스 및 라우팅 네트워크 통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