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내용
칸반 보드 기반 서비스로 유명한 Trello와 같은 “프로젝트 협업 도구”를 만드는 것입니다.
프로젝트 명 Tenllo
10조 + Trello
필수 기능
- 사용자 관리 기능 (손민지)
- 보드 관리 기능 (서지인)
- 컬럼 관리 기능 (강정훈)
- 카드 관리 기능 (이민우)
- 카드 상세 기능 (이민우)
느낀점
-
이민우 - spring batch 와 같은 새로운 기술에 대해 알게 되어서 좋았고 더욱 배우고 사용해보고 싶어졌습니다.
프론트앤드와 협업할땐 반환 데이터가 주용하다는걸 다시 깨닫게되었습니다.
-
서지인 - 병합하는 과정 그리고 프론트 부분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한 것 같아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하면서 조금 지칠 수도 있었는데 팀원분들과의 대화로 많이 웃고 으쌰으쌰하면서 덕분에 힘 내서 잘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수고 많으셨어요!!
-
손민지 - 더 다양한 기능을 넣지 못한 점과 CSS를 더 신경쓰지 못했다는 점이 아쉽다.
프론트 병합에 예상보다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하지만 목표했던 기능은 모두 보여줄 수 있어서 기쁘다.
오랜 시간 얘기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는데 대화도 많이 하고 팀원들 덕분에 많이 웃어서 즐거웠던 프로젝트였다.
- 강정훈 - 프론트의 어려움을 많이 만나 프론트적으로 미숙했다는 점이 너무 아쉬웠다.
생각보다 시간도 부족하고, 필수 기능은 모두 완성했지만 추가적인 기능을 다 만들어보지 못했다.
하지만 팀원과 소통하는게 즐거웠고, 팀원과 분위기가 좋으니 개인 시간도 따로내서 더 열심히 했던 프로젝트 였던것같아 후회가 없다.
KPT
- Keep
- 분업이 확실하고 진행 상황 공유가 잘되었다.
- 코드를 병합할 때 화면 공유로 다 같이 확인하며 병합했던 것
- 강아지, 고양이 사진을 공유했던 것
- 주말에도 나오는 열정
-
Problem
- HTML과 CSS, JS코드를 잘 나누지 못 한 점
- 개발 계획을 좀 더 촘촘히 세워보기
- 깃을 좀 더 활용하지 못한점(병합, 브랜치 정리, Issue, 코멘트 등)
- bath 프로그램 사용 정보 부족
-
Try
- HTML과 JS코드를 기능 별로 최대한 세분화해서 폴더화하기
- 하루하루 계획을 세워보기 (틈틈이 진행 상황 확인하기)
- 깃 좀 더 활용하기
- bath 프로그램 에대한 학습
정리가 잘 된 글이네요. 도움이 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