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째 주 회고

Gisele·2021년 9월 6일
0
post-thumbnail

구현완료

다소 빡빡했던 일정에 맞춰 기능 구현을 완료했다. 항해할 때 이주에 한 개씩 프로젝트를 만들어냈는데 왜 더 느리지?라는 생각이 들었다.
원인은

  1. 절대적인 투입시간 차이. 이주라고는 하지만 항해할 때는 하루에 12시간을 순수하게 개발에만 썼는데 회사에서는 근무시간 8시간이고 사이사이 회의나 다른 업무들이 있어서 절대량이 다르다.
  2. 코드리뷰. 머지를 하기전 무조건 코드리뷰가 있기 때문에 구현을 한다고 바로 머지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무튼 디자인이 따로 없는 어드민 페이지였기 때문에 antd를 이용해 빨리빨리 구현에만 집중해 스프린트 목표를 달성했다.

느슨한 코드리뷰

일정이 급해 이번주는 코드리뷰가 거의 없다시피 머지를 했다. 속도가 빨라서 재미는 이었는데 TODO 트리가 쌓여가고 있다...내가 짠 코드끼리도 통일성이 없는 것 같고 솔직히 뭘 짜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코드리뷰가 깐깐했을 때는 진행속도도 느리고 코드를 의식적으로 짜야해 나름의 스트레스가 있었는데, 이건 이것대로 걱정이...다음주에 대대적인 리팩토링을 진행할 예정이다.

리팩토링 2판 스터디

딥네추럴 팀의 개발블로그를 보고 같은 방식으로 책 스터디를 시작했다. 서로 다른 부분을 읽은 후 읽은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했고, 읽기 전 이 챕터를 읽는 목적, 내가 얻기를 기대하는 것을 생각하면서 읽기로 했다. 혼자 읽기엔 부담스러울 수 있는 양인데 같이 해서 재밌었고 좀 더 집중해서 읽었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내가 읽은 부분에서 당장 실행항 수 있는 것을 코드작성과 리팩토링을 분리하지 말라는 것이다. 특히 이번 스프린트를 진행하면서 많이 와닿았던 부분이었다. 저자는 한시간에 한번씩,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전에, 코드를 분석하면서, 코드리뷰를 하면서 리팩토링을 진행한다고 한다. 나도 다음주부터는 PR을 하기 전에 무조건 리팩토링을 하고 진행하려고 한다.

스프린트와 지라 티켓 쪼개기

스프린트는 달성해야 할 목표에 집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식이다. 팀원 중에 이 방식에 익숙한 분이 계셔서 많이 배우면서 하고 있다. 그분은 테스크를 최대한 잘게 쪼개서 진행을 하시길래 나도 이번 스프린트에서는 그렇게 해보았다. 예를 들어 등록 기능을 만둘어야 하면 등록 컴포넌트 만들기, 등록 폼 만들기, 등록 api로직 작성하기, api 연동하기, validation처리하기 등등 기능 하나하나를 나눠서 티켓읗 만들어 작업을 했다. 그렇게 하니 피알단위가 작아서 코드리뷰 하기가 좋고, 코드를 작성하다가 다른 기능이 생각나거나 당장 수넝하고 싶은 부뷴이 눈에 보여도 우선 지금 하고있는 티켓에 집중할 수 있었다. '지금 하고 있는 것에 집중'이 뭔지 깨달았다. 그리고 애자일 방식에 대한 이해와 공부가 필요하다고 느꼈다.

브라우저 101은 못했어요.

개인적으로 공부하고 있는 것은 진도를 거의 못나갔다. 이틀은 야근을 했고 하루는 동생이랑 집구조를 바꿨고, 하루는 일찍 잠들었고, 연휴에는 노트북을 안챙겼다. 우선 오늘 저녁부터 다시 시작할 생각이다. dom에서 모든 요소는 node로 변환되고, 모든 node는 event target을 상속하기 때문에 event target이 가지고 있는 addEventListner 등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가장 크게 알게된 것은 '그냥 되는 것는 없다'와 '내가 아무것도 모르고 쓰고 있다는 것'과 mdn찾는 법이다. 다음주는 DOM에 대해 저 자세히 한다. CSS 최적화나 렌더링 최적화에 대한 내용을 가장 기대하고 있다.

profile
한약은 거들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