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속도 개선을 위해 In-Memory 데이터베이스인 Redis를 활용하였다. 해당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Word2Vec 모델을 사용하는 AI 서버에 그에 대한 유의어를 요청한다. 이 때 매번 단어를 분석하는데 소요되는
동아리를 통해 진행하였던 웹뷰 형태의 앱 서비스 프로젝트에서 OAuth 2.0 활용한 자동 로그인을 구현하였다. 카카오와 애플 모두 REST 방식으로 구현한 뒤, 서비스 자체 JWT 토큰을 통해 유저 인증 로직을 구현하였고 이 과정에서 Cookie를 활용해 자동 로그인
사실 Repository 계층에 대한 포스트를 먼저 작성하려고 했는데, 구현하다보니 초기에 작업 중인 API에서는 딱히 JPA Repository에서 소개하고자 하는 기능들을 사용하지 않는 단순한 findById와 save 등만 존재해서 이후에 다른 API 작성 후 올
DDD 적용하기 - 1 개념을 토대로 구현하려고 한다. 1. 매핑 구현 엔티티는 @Entity로 매핑 한 테이블에 엔티티와 밸류가 같이 있을 경우에 밸류는 @Embeddable, 밸류 타입 프로퍼티는 @Embedded로 매핑 Aggregate 단위로 묶은 그림 지
지난 프로젝트에서 여러번 리팩토링을 거치며 아키텍처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DDD 책을 추천 받고 인터넷을 열심히 서핑하며 공부 중이다. 블로그에 내용들을 정리하며 복기하고, 이를 이번 캡스톤디자인 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연습하려고 한다. 프로젝트에 대해 간단히 귀뜸
올해 6월 말 쯤부터 8월 초까지 달렸던 동아리에서 Spring Boot, Java, MySQL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동아리에서는 장고를 가르치고, 개발 기간이 턱 없이 부족하던 터라 충분히 공부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시간이 적었다. 그 결과 10월
Spring Boot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초기 세팅동안 겪은 일들을 정리해보았다. Project 생성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 생성은 아주 편리하다! start.spring.io 활용해서 위 사진과 같이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 Dependancy는 Lombok, Spr
도커 리눅스 컨테이너에 프로세스 격리 기술을 사용해 컨테이너로서 더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진 오픈소스 프로젝트 기존 가상화 기술 여러 개의 게스트 OS를 하나의 호스트 OS 위에 생성 하이퍼바이저를 거쳐 성능 저하 게스트 OS 사용을 위한 라이브러리
ngrok https://velog.io/@kya754/ngrok-%EC%82%AC%EC%9A%A9%ED%95%98%EA%B8%B0 아래 사진은 요기서 가져왔다! ngrok은 로컬 서버를 외부로 공유해주는 터널링 프로그램이다. 이것보다 더 좋은 성능의 터널링 프로그램
초기 셋팅에 겁먹어서 반 년전에 샀던 책 챕터 1에서 멈춘 상태로 있었는데, 드디어 다시 해보기로 했다. 캡디에서 스프링으로 개발하겠다는 목표로 2주 동안 책 실습 싹 따라가기가 목표다. 사용하는 책은 구멍가게 코딩단의 '스타트 스프링 부트'이다. 내용이나 배운점을
카카오 소셜 로그인 이번 앱잼에서 가장 먼저 맞게 된 파트이자, 내가 완전 문외한인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하려 한다! 먼저 OAuth2.0의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생활코딩 유튜브 영상을 참고해 공부하였다. OAuth2.0 Resource Owner, Resour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