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git branch

백광호·2021년 1월 11일
0

TIL

목록 보기
32/55

코드스테이츠 36일차

쉬는동안 블로깅도 쉬었다.
딱히 새로 배운건 없고 복습을 하다보니
TIL로 쓸만한게 없어서 안쓰게 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TIL로 작성할만한게 있으면
작성하도록 해야겠다.

새로 배운 것들

git을 이용해 브랜치를 만드는법에 대해 알게되었다.
여태까지 git을 이용할때에는 그냥 마스터에 커밋하기만하면서
git을 제대로 이용하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자주 사용할 것 같아
블로그로 남기도록 하겠다.

git remote

내 로컬 저장소에 상대방의 저장소를 연결하는 방법이다.

git remote add <name> <url>

터미널에 이런식으로 <name>에는 임의의 이름을
<url>에는 연결하려는 저장소의 url을 넣어주면 된다.

현제 연결되어있는 저장소들을 보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git remote -v

더 상세하게 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커밋이 최신인지, 뒤쳐지는지, 앞지르는지도 알 수 있다.
명령 실행 결과는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서버에서 동기화한(fetch) 시점으로 한다.

git remote show <name>

연결되어있는 저장소의 연결을 해제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된다.

git remote remove <name>

git pull

내 로컬 저장소에 상대방의 저장소의 브랜치를 가져오는 방법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저장소가
리모트로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git pull <name> <branch>

<name>에는 연결시킨 저장소의 이름을,
<branch>에는 해당 저장소의 브랜치를 입력하면 된다.

git pull을 이용하게 될 경우
상대방 저장소의 변경사항이 자동으로 merge된다.
이 때 변경사항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데

VScode에서는 내 변경사항이나 상대방의 변경사항 중 선택하거나
두가지 변경사항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
두가지 변경사항을 모두 적용시킬 경우 어느정도 수정을 해줘야된다.
변경사항을 정한 후 다시 커밋해주면 적용된다.

git checkout

브랜치간 이동 명령어이다.

git checkout <branch_name>

이 명령어를 이용해 브랜치도 만들 수 있다.

git checkout -b <branch_name>

이렇게 하면 현제 위치를 기준으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든다.
현제 위치가 기반이기 때문에 마스터가 아니라면
브랜치에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게 된다.

이번수업엔 이 명령어를 이용해 브랜치를 만들어 본것이다.
이 이외의 명령어는 사용해보지 않아 다 적지 못했다.
후에 git 명령어를 더 사용하게 될 경우 관련해서 포스팅 해야겠다.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