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피디아 HTML 정의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이란 웹 페이지에서 볼 수 있는 문서를 말하는 것HTML 없이는 웹 사이트를 제작 할 수 없으며 CSS, JS는 추가적인 요소Markup Language 예시페이지는 태그로 시작해서 슬래
태그는 2가지 분류로 나눌수 있음BOX사용자가 볼 수 없는 Section, CSS를 통해 스타일링이 가능함ITEM사용자가 볼 수 있는 Section, 사용자가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함태그의 정의My cat is very grumpy이것을 콘텐츠라고 한다class="edi
위키피디아 CSS 정의Cascading Style Sheet캐스캐이딩 스타일 시트 혹은 종속형 시트라고 부르며Markup langage가 실제 표시되는 방법을 기술하는 언어로HTML과 주로 쓰이며 XML에서도 사용 가능하다Author Style내가 작성하는 스타일링 (
Block-level, Inline-level에 따라 페이지에 콘텐츠가 배치됨CSS를 통해 배치되는 콘텐츠의 레이아웃을 결정 가능display는 콘텐츠의 표시 방법을 정하는 태그로이 태그를 통해 Block-level, Inline-level, Flexbox로 변경 가능
Container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속성display콘텐츠의 표시 방법을 정하는 태그 flexbox를 이용하기 위해선display 태그의 속성을 flex로 변경해야 한다flex-direction콘텐츠의 정렬 방향을 정하는 태그 기본값은 row이며뒤에 row-rever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화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드는 방법작성 방법은 아래를 참고하여 작성한다.작성 시 state(:)가 없는 요소에 붙여야 한다.태그 작성 후 변화를 줄 요소를 집어 넣는다.(예시는 background-color)변화를 줄 요소는 state가 있는
JavaScript란, 웹 개발에 사용되는 하나뿐인 프로그래밍 언어로웹 사이트를 Interactive하게 만들어주는 언어이며Front-end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JavaScript가 유일하다JavaScript를 사용하여 웹사이트 뿐만 아니라웹 어플리케이션,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계산을 위해 만들어진 기계 이기때문에JavaScript에서는 사친연산보다 더 복잡한 연산도 지원한다.숫자에는 정수와 실수가 존재하며정수는 0, 1, 2, 3과 같은 숫자를 말하며실수는 0.76539, 2.346315283과 같은 소수점을 포함한 숫자
바뀌거나 바뀔수 있는 것,컨테이너값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때 사용한다.그렇기 때문에 코드를 재활용해야하는 경우 많이 사용한다.JavaScript는 프로그래밍 언어이기 때문에따라야 하는 문법, 규칙등이 존재한다.만약 이를 지키지 않고 작성 시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Boolean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문법으로조건에 따라 앱이 실행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if\*\* 앞에 Boolean값(true, false)을 넣으면 그 값에 따른 내용이 실행된다.예시else는 if의 조건이 true라면 if의 중괄호 구간이 실행되고,fa
while는 괄호안의 조건이 true이면 중괄호안의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여기서 Boolean은 시작/종료 조건이 된다.만약 반복문에 종료 조건이 잘못 지정되면무한 반복 되거나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는다.위 코드는 무한반복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반드시 반복 조건
함수란 하나의 로직이 재실행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여준다. (변수와 비슷)함수의 작성 방식함수를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위에서도 얘기한 코드의 재사용성이다.이는 프로그램의 유지 보수와 가독성에도 용이하기 때문에함수의 사용은 메우 중요하다.함수의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변수로 저장하기 위한 것변수의 경우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었다면배열은 여러개를 저장해서 사용할 수 있다.배열을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대괄호(\[])는 배열을 만드는 기호다.대괄호 안에 콤마(,)를 사용해 데이터를 구분 한다.이렇게
배열과 같지만 색인(index)을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 다르다.배열은 자동으로 중복되지 않는 숫자를 지정했다면객채는 색인(index)을 문자열로도 지정할 수 있다.배열과 객채의 다른점이 한가지 더 존재하는데,배열은 저장된 데이터들이 순서를 가지고 있다.객채의 작성 방
ES6 에서 추가된 객체 지향 언어 중 하나로기존에 이용하던 객체 지향 언어의 방식을 크게 바꾼 방법이다.class는 일종의 template에 속하며 이 template을 이용해데이터를 넣어 만드는 것이 object이다이런 class가 없었을 때에는 함수를 이용해 객체
JavaScript는 동기적으로 작동한다.이는 호이스팅(hoisting)된 후부터 코드를 순서대로동기적으로 실행시킨다는 것이다.Hoisting이란, var, 선언된 함수를 코드의 제일 위로올라가 가장 먼저 정의되는 것을 뜻한다.Callback Function이란, 선언
브라우저에서 동작하는 웹 사이트나 웹 어플리케이션이어떻게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지를 정의하는 것이 HTTP다.이런 HTTP에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것들을서버가 응답하는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는데이중 JSON에 대해 설명한다.JSON이란, JavaScript O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