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관련 내용은 편집함.👧🏻 아까 스프링 시큐리티의 인증 방법 물어본 거 생각 나?🤖 아마 인증 방식을 고민하면서,1\. 세션 기반 인증2\. JWT 기반 인증3\. OAuth 2.0 또는 소셜 로그인4\. API Key 또는 Basic Auth이런 옵션 중에서
1️⃣ 필드 주입 (권장 X)2️⃣ 세터 주입 (가급적 X)✅ 장점: 필요할 때만 의존성을 변경 가능❌ 단점:객체 생성 후에도 의존성이 바뀔 수 있어 불변성 보장 안됨.의존성이 없으면 객체 생성이 실패할 수도 있음.📌 → 보통 사용하지 않음.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3
📌 @Setter를 남발하면 안 되는 이유 (안 쓰는 게 좋다는 의견)불변성(Immutable) 깨짐 모든 필드에 @Setter를 달면 어디서든 값이 변경될 수 있어 객체 안정성↓해결책: 필요한 필드에만 setter 제공객체 캡슐화(Encapsulation) 원칙 위
참고 영상 https://youtu.be/4QHvTeeTsj0?si=1M6OgXB0b5MHC-ib Domain Driven Design 도메인 모델과 로직에 집중 유비쿼터스 언어(보편적 언어) 사용 Software Entity와 Domain간 개념의 일치 : 분석 모델 - 설계 - 코드 개념의 일치 주요 용어 DDD 핵심 개념 1. Bounded Co...
Knuth의 방법: 무작위로 하나를 선택하는 알고리즘Knuth의 방법은 입력 데이터(여기서는 단어들)를 배열이나 리스트에 저장하지 않고도, 입력된 데이터 중 하나를 균등한 확률로 무작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된 알고리즘입니다.어떻게 작동하나요?1\. 첫 번째 단어를
사이드프로젝트를 위해 AWS RDS에 postgresql DB를 구성 중.DB를 생성했으나 DBeaver에서 접속 시 connection timeout 발생.네지금 할게요VPC 보안 그룹 :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AWS의 가상 방화벽.유형 : Po
자바의 기초를 다시 다지는 중..아주 사소한 건데 JVM에 '가비지 콜렉션'이 있다는 걸 알면서도 그 '가비지'의 정체를 정확하게 한마디로 요약할 줄을 몰랐다.가비지 = 참조가 끊긴 인스턴스스택의 변수가 참조하고 있던 힙의 인스턴스.. 이 참조가 끊기면 쓰레기가 되어
HTTP 및 기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 사용. 주로 API 호출, 파일 다운로드, 서버 상태 확인 등 다양한 네트워크 작업에 활용.서버로 기본적인 GET 요청을 보냄.데이터를 POST 방식으로 서버에 보냄.JSON 데이터를 보낼 경우:HTTP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독립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의 앞 글자.데이터베이스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트랜잭션이라고 하는데 이 트랜잭션 단위가 ACID의 특성을 갖는다.원자성 : 트랜잭션은 모두 실행되거
Team - 말 그대로 팀 협업 공간.Team > Progect > File, File, File...하지만 모든 File이 Team에 소속될 필요는 없다.Draft - 팀에서 공식화되지 않은 작업파일Draft > File, File, File...
피그마 홈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두 종류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UI를 설계하고 프로토타입핑을 할 수 있다.와이어프레임을 그리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스마트폰, 브라우저 등등의 해상도에 맞게 UI를 디자인 하여 개발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주로 디자이너들, 개발자와
EventBroker와 중개자 패턴(Mediator Pattern)은 모두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주요 차이점이 있습니다. 아래에서 각각의 개념과 그 차이점을 설명하겠습니다.EventBroker정의: EventBroker는 주로 이벤트
상여자는 커밋 메시지를 수정하지 않는다.하지만 나는 하여자니까 수정 1억 번 함.출처 : https://velog.io/@mayinjanuary/git-%EC%BB%A4%EB%B0%8B-%EB%A9%94%EC%84%B8%EC%A7%80-%EC%88%98%EC%
출처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Strict_modehttps://www.w3schools.com/js/js_strict.aspjs 니가 안 엄격하면 어떡할건데
무슨 뜻인지 찾아볼 시간 없고 일단 익혀라sudo 명령임을 전제함 ~selinux를 끄는 건 사실 비추천.그런데 지금은 내가 만든 테스트 서버에서 어떻게든 테스트를 해야하는 상황임ㅜ 실제 개발계/운영계에서는 인프라 담당자들에게 맡길 것
얘는 유미 ㅋ 출처 : https://myminju.tistory.com/21 https://boring-notes.tistory.com/entry/CentOS-local-YUM-Repository-%EB%A7%8C%EB%93%A4%EA%B8%B0 yum? Yel
자바 소켓 통신 관련 공부를 하다가 발견한 내용.내용 출처 : 자바 네트워크 소녀 네티블로킹 +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마다 스레드를 새로 생성하는 로직으로 소켓 통신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스레드가 게송 생성되어 서버 소켓의 병목 현상과 자바 힙 메모리의 부족 현상이 발
아주 근본적인(?) spring framework 프로젝트를 볼 일이 생겼다.Application.java 에서 ApplicationContext를 하나 생성해서 별거 별거 다 쓰고 있길래 궁금해서 대충 정리해봄. 챗사수님과 함께..소스 코드는 대충 각색해서 정리함..
오전을 네트워크 접속 불가로 날려 먹으며 정리해보는 글...DHCP란?https://blog.naver.com/patchwork_corp/222367649913IP를 특정 기기에 고정적으로 할당해 주는 것이 아니라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할 때, 즉 IP를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