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 7일 . WIL] 1주차 회고

박예슬·2022년 3월 13일
0

항해 1주차 회고

1주차 주제는 '웹개발 미니 프로젝트'.
처음으로 경험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프로젝트이자, 여러사람들과 함께하는 팀활동이었다.
풀스택 미니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하나의 웹사이트가 만들어지는 과정과 원리를
조금이나마 알아갈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확실히 혼자 공부하면서 알았던 지식들은 너무 얕았고,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많이 부족함을 느꼈다.
무언가를 공부할때, 욕심이 많아서 이것저것 완벽하게 알고 가려는 편인데,
심지어 아는 것이 많지 않아서 공부할게 많기도 했고...
하지만 정해진 시간이 있고, 그 안에 내가 해내야 할것들이 있다보니
내 욕심만 챙길순 없다는 것을 느꼈다.

처음 페이지 레이아웃을 짤때 이쁘게, 깔끔하게 하려고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오히려 기능을 구현하는데 시간이 부족했고,
git, Jinja2 템플릿 엔진, 서버사이드 렌더링... 스스로가 부족한 공부를 할때도,
모든 강의를 듣는것은, 당장 오늘 쳐내야 할 일이 있는 나에겐 너무 큰 욕심이었고...
하지만 공부를 완벽히, 쌓아올리지 않았다고 실제로 내가 놓치기만 한게 아니었다.
대략적인 코드 원리도 알수 있었고, 실제로 내가 코드를 짜보니 그 나름대로 내것이 되기도 했다.
앞으로 계속 코딩을 하다보면 얕게 있던 지식이 밀푀유처럼 점점 쌓아올라가지 않을까..?ㅎㅎ

확실히 탄탄히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전으로, 손가락으로 부딛혀보는것이 현재 나에겐 더 필요하다는것을 깨닫게 해줬다.
지금은 완벽주의보다는, 나에게 좀 더 효율적이고, 능률을 우선시 하는 공부방법이 필요한 듯 하다.
지금은 지금해야하는 일들을 하자!!


이번주 배움 키워드

1. JWT

JSON 웹 토큰(JSON Web Token)은 선택적 서명 및 선택적 암호화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인터넷 표준으로, 페이로드는 몇몇 클레임(claim) 표명(assert)을 처리하는 JSON을 보관하고 있다. 토큰은 비공개 시크릿 키 또는 공개/비공개 키를 사용하여 서명된다. [위키백과]
즉, JWT는 하나의 인터넷 표준 인증 방식으로, 인증에 필요한 정보들을 token에 담아 암호화시켜 사용하는 토큰이다.
읽어볼 자료 : https://brunch.co.kr/@jinyoungchoi95/1

2.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램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컴퓨터나 컴퓨터 프로그램 사이의 연결이다. 일종의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며 다른 종류의 소프트웨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키백과]
즉, API란, 프로그램들이 서로 상호작용(데이터를 주고 받는)하는 것을 도와주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어떤 기계 장치끼리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이다.

  1. API는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출입구 역할을 한다.
    데이터베이스에는 소중한 정보들이 저장되기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으면 안된다. API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우리가 가진 서버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출입구 역할을 하며, 허용된 사람들에게만 접근성을 부여해준다.

  2.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원활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이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스마트폰 어플이나 프로그램.
    API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가 데이터를 원활히 주고받을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3. API는 모든 접속을 표준화한다.
    API는 모든 접속을 표준화하기 때문에 기계/ 운영체제 등과 상관없이 누구나 동일한 액세스를 얻을 수 있다. 쉽게 말해, API는 범용 플러그처럼 작동한다고 볼 수 있다.


더 성장할 나를 위해

확실한 개념 잡고 가기

  • Open Api 사용 방법
  • JWT 인증 방식
  • Jinja2 템플릿 엔진
  • 서버사이드 렌더링

Git 사용법, 사용

  • 팀 프로젝트엔 필수!
  • 평소에 많이 사용해서, 스스로 익숙해 질 수 있게 다져놓자

기술 블로그 꾸준히 쓰기

  • 한주를 돌아보는 글을 쓰다보니, 내가 이번주 배운것, 경험한 것들을 다시한번 곱씹을 수 있었다.
    기억해야할 것들, 다짐했던 것들, 고쳐야 할 것들... 다시한번 스스로 상기시킬 수 있는 좋은 시간!!
  • velog로 글을 쓰다보니 Markdown 언어를 사용해야하는데,
    나중에 github에 readme.md 파일 작성에도 익숙해져야 할 나에게 좋은 연습이 될 것같다.

몸 관리

  • 계속 한자리에만 앉아있다보니, 엉덩이도 무거워지고 몸도 굳어지는것 같다.
    하루이틀 코딩할 것도 아니니, 스트레칭이나 간단한 운동을 통해 체력을 키워야할거같다.
  • 눈 피로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중간중간 잊지말고 눈 운동도 해주고, 창밖도 봐주자!
  • 밤.. 새지 말자!!
    물론 프로젝트를 하다보면 밤을 지새워야할때도 있겠지만, 이번에 프로젝트를 하면서 한번 밤을 새운결과 다음날 최악을 경험했다.
    분명 어제 밤새워서 쓴 코드인데, 기억이 안나고, 글자가 겹쳐보이고... 마지막엔 멍해지고-
    체력관리의 필요성을 느꼈다.
profile
공부중인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