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지식] 쿠키, 세션, 웹스토리지

박예슬·2022년 6월 8일
0

쿠키(Cookie)

  • 쿠키는 클라이언트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 형태의 작은 파일로 이름, 값, 만료 시간, 경로 정보가 들어있다
  •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한다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이 가능하다
  • Response Header의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으며 만들어진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 Header에 넣어서 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세션(Session)

  • 사용자 정보를 파일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한다.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한다.
  •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 가능하다.
  • 데이터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게 된다.

- 쿠키와 세션 간단 비교

  • 데이터 저장위치 : 쿠키(클라이언트), 세션(서버)
  • 보안 : 저장위치 때문에 쿠키는 스니핑에 당할 우려가 있지만, 세션은 쿠키를 이용해 세션 아이디만 저장하고 서버에서 처리하기때문에 보안성은 쿠키 < 세션
  • 라이프 사이클 : 쿠키는 브라우저를 종료해도 만료기간이 남아있으면 존재, 세션은 브라우저 종료 시 만료기간에 상관없이 종료
  • 속도 : 쿠키 > 세션

웹스토리지(Web Storage)

  •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HTML5부터 추가된 저장소
    간단한 Key-Value 스토리지 형태
  • 쿠키와 달리 자동 전송의 위험성이 없음
  • 오리진(Origin)(도메인,프로토콜,포트) 단위로 접근이 제한되는 특성 덕분에 CSRF로 부터 안전
  • 쿠키보다 큰 저쟝 용량 지원(모바일 2.5MB, 데스크탑 5~10MB)
  • 서버가 HTTP 헤더를 통해 스토리지 객체를 조작할 수 없음(웹 스토리지 객체 조작은 JavaScript 내에서만 수행)
  • 오직 문자형(string) 데이터 타입만 지원
  • 로컬 스토리지(Local Storage)와 세션 스토리지(Session Storage)가 있으며, 같은 Storage 객체를 상속하기 때문에 메서드가 동일

- 로컬 스토리지(localStorage)

  • 사용자가 데이터를 지우지 않는 이상, 브라우저나 OS를 종료해도 계속 브라우저에 남아있음 (영구성)
  • 단, 동일한 브라우저를 사용할 때만 해당
  • 지속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저장(자동 로그인 등)

- 세션 스토리지(sessionStorage)

  • 데이터가 오리진 뿐만 아니라 브라우저 탭에도 종속되기 때문에, 윈도우나 브라우저 탭을 닫을 경우 제거
  •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 저장(일회성 로그인 정보, 입력폼 저장 등)

참고 링크
https://ykss.netlify.app/web/storage_session_cookie/
쿠키, 웹 스토리지 (로컬 스토리지, 세션 스토리지)
쿠키, 세션 그리고 웹 스토리지
https://doqtqu.tistory.com/306#toc-%EC%84%B8%EC%85%98%20%EC%8A%A4%ED%86%A0%EB%A6%AC%EC%A7%80(sessionStorage)

profile
공부중인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