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백엔드에 깊은 지식없이 백엔드에 입문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정확하지 않는 내용이 있는 경우 시끄럽게 알려주시면 조용히 고치도록 하겠습니다.TypeORM 도 일종의 ORM (Object Relational Mapping) 이다. 그 이
이 글은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백엔드에 깊은 지식없이 백엔드에 입문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습니다. 백엔드에 높은 식견이 있어 해당 글이 불편하다면 조용히 뒤로가기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들어가는 말 3년 이상이 지난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아래 정도의 스펙을 가지고 있을 것
박스 모델이라 함은, content 를 중심으로 padding 이 있고, padding 위에 border 가 있고, 그 위에 margin 있다. 위 padding, border, margin 의 값에 의해 크기가 정해지는 것은 박스 모델의 룰 이라고 한다.positio
Passport 는 정말 친절한 라이브러리다. 단 몇 줄의 코드로, 소셜 로그인을 구현할 수 있다. Passport 로 소셜 로그인을 구현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로 패키지를 설치한다.설치하는 패키지들을 간단하게 설명하면express : 웹 서버 구현을 도와주는 프레임워
ClientResource Server 를 사용하는 주체. 내가 구현하게 될 어플리케이션Resource OwnerResource Server 에 인증되어 있는 사용자. 내가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할 사용자Resource Server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서버. Go
flex-shrink 의 계산은 flex-basis, width, height 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여간 까다로운 일이 아니다. 실무에서는 많이 사용해보진 않았지만, 계산법은 알고 있어야 할 것 같아 정리 해본다.위 그림은 flex-basis의 값이 각각 100px
div는 block 요소로 위에서 아래로 쌓이게 되어 있다. 이것을 수평 정렬 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 있을까.필자는 flex라는 속성이 나오기 전에 아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해 수평 정렬을 했다.첫 번째 방법으로는 block요소를 inline화 시키는 것이었다. 여
메가박스 클론 코딩 을 보고, 전체적으로 화면을 어떻게 구성했는지 짧게 정리한 포스트container 를 이용해 center 정렬row 를 이용해 추가 여백항상 container 와 row는 붙어 다닌다.각 섹션에 아이디 값을 지정하고, 여기에는 기본 레이아웃 지정po
메가박스를 클론 코딩하는 중 수평으로 스크롤을 처리하는 부분 있어, 어떻게 처리 했는지 공유하고자 한다.먼저, 카드를 담고 있는 컨테이너와 카드를 만들자.수평 스크롤을 처리 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코드를 보면, 수직 스크롤을 비활성화 시키고, 수평 스크롤만
express와 함께 실무에서 사용했던 기억을 바탕으로 handlebars 사용법을 공유하려고 한다. 다루지 않는 개념도 있지만, 해당 내용으로도 충분히 화면을 구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