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어진 문자열들을 표준 출력으로 출력한다.변수나 문자열을 화면에 보여줄 때 사용한다.\-e 옵션을 주면 포맷 관련된 이스케이프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포맷형식으로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어무한히 반복되는 "y" 문자열을 표준 출력으로 출력하는 명령어뒤에 문자열을 추가하여
해당 파일의 내용을 단위별로 세서 갯수를 리턴해주는 함수옵션없이 \-l 옵션을 주면 라인갯수를 리턴함\-c 옵션을 주면 바이트 수를 리턴함\-w 옵션을 주면 단어 갯수를 리턴함파일을 패턴으로 나누는 명령어뒤에 숫자를 입력하면 해당 라인을 기준으로 파일을 나눔뒤에 숫자를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옵션cat 뒤에 파일명을 붙이지 않으면 표준입력을 그대로 보여줌cat 과 동일한 성능이지만 내용을 반대로 보여줌\>> : 파일의 내용을 이어붙일때 사용\> : 파일을 생성하거나 덮어 쓸때 사용
파일을 나누는 명령어기본은 라인 단위(1000줄) 로 나뉘게 된다\-d 옵션을 주면 영어가 아니라 숫자이름으로 파일이 나뉘게 된다\-d 옵션 뒤에 -a 옵션을 붙이면 몇자리의 숫자로 나눌것인지 설정 할 수 있다파일 이름 뒤에 문자를 입력하면 해당 문자가 접두사로 파일명
내용의 앞 부분을 잘라서 가져오는 명령어뒤에 -n 옵션을 붙이면 가져올 줄 수를 조절할 수 있음 (디폴트는 10)head에 여러개의 파일을 줄 수 있다.내용의 뒷부분을 잘라서 가져오는 명령어\-n 옵션을 주면 가져올 줄 수를 조절할 수 있음(디폴트는 -10)\-n 옵션
표준입력을 표준 출력으로 복사하는 유틸리티옵션 1\. -a 파일에 입력된 내용을 이어붙임 내용에 글번호를 붙이는 명령어옵션 1\. -w : 왼쪽 간격을 조정\-i : 줄번호가 몇씩 증가하는지 조정\-v : 줄번호 시작 값을 조정nl 명령어는 cat -b 명령어와
파일, 폴더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l 옵션을 주면 각 파일,폴더 의 상세 정보를 표시함\-a 옵션을 주면 숨겨진 파일,폴더를 보여줌\-A 옵션을 주면 자기자신을 나타내는 "." 과 부모를 나타내는 ".."은 제외하고 보여준다\-F 옵션을 주면 디렉토리는 / 가 붙어서
두 개 이상의 파일을 가로 방향으로 병합하여 출력하는 데 사용s 옵션을 주면 가로로 내용을 병합 할 수 있음\-d 옵션을 뒤에 문자열을 주면 주면 기본 구분자(\\n) 를 다른 문자열로 대신할 수 있음 \- d 옵션 뒤에 여러가지 문자를 나열하면 순서대로 반복되어 적
문자열을 형식에 맞게 잘라 가져오는 명령어\-d옵션 뒤에 문자열을 주면 해당 문자열로 타겟 문자열을 나눈다\-f옵션 뒤에 숫자를 주면 나누어진 문자열을 순서대로 하나씩 가져올 수 있다\-c옵션을 주면 문자 단위로 가져오는게 가능하다 \- c옵션뒤에 쉼표로 숫자를 나열
텍스트 파일의 내용을 정렬하는데 사용한다위코드는 df 명령어를 통해 디스크 용량상태를 표시함h옵션을줘서 읽기 편하게 용량 단위를 붙임sort 명령어에 k옵션을 줘서 Avail 필드의 값(4번째)으로 정렬함그냥 정렬하게되면 용량 단위를 무시하므로 h 옵션을 줘서 용량
주어진 파일 또는 텍스트 데이터에서 연속적으로 중복되는 행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정렬된 데이터의 중복 항목을 제거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기본적으로 uniq 명령어는 주어진 입력에서 연속적으로 중복된 행을 제거하고, 중복되지 않은 유일한 행만 출력합니다.하지만
텍스트를 변경하거나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뒤에 'a-z' 혹은 '0-4' 형식으로 지울 문자열의 범위를 설정 가능하다'\[:lower:]' = 소문자 ,'\[:upper:]' =대문자 , '\[:digit:]'= 숫자tr '교체하는 문자(범위)' '교체할문자(범위)
파일 디스크럽터는 Unix와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I/O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추상화 하는데 사용되는 정수이다.cal > c1 여기서 꺾쇠는 출력 위치를 표준 출력(stdout)이 아닌 파일로 변경한다는 의미이다(rediect)who >> c1 여기서 꺾쇠
폴더를 생성하는 명령어옵션1\. p : 하위 폴더도 같이 만듬폴더를 삭제하는 명령어옵션1\. p : (parents) 상위 폴더도 같이 지움폴더안에 파일이 있는경우 폴더를 지울 수 없으므로 해당 파일을 삭제후 폴더를 삭제하거나 rm -rf 명령어를 사용한다.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 i 옵션 : (interactive) 모드. 파일을 삭제할때 사용자에게 물어봄 f 옵션 : (force)묻지않고 강제로 삭제함 r 옵션 : (reculsive)내부파일도 같이 삭제함 파일명을 패턴으로 주어 동시에 삭제 가능
리눅스에서 파일 이름을 일괄적으로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정규식을 이용해서 파일 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a로 시작하는 파일의 a 문자열을 AA- 로 변경v : 바뀐 파일들의 로그를 보여줌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이동하거나 이름을 변경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bb로 시작하는 빈
일련의 숫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seq \[처음값] \[증감값] 마지막값소수단위도 가능역순도 가능1부터 10까지 출력2) 1부터 10까지 2씩 증가시키며 출력3) 10부터 1까지 2씩 감소시키며 출력4) 1부터 10까지 0.1 씩 증가시키며 출력5) 0
expr 명령어는 산술 연산이나 문자열 처리 등을 수행하는 유틸리티이며 주로 셸 스크립트에서 변수나 표현식을 처리하거나 비교하는 데 사용된다표현법expr ARG1 operator ARG2| 연산자는 앞의 조건이 true이면 앞의 값을 리턴하고 false라면 뒤의 값을
let let 명령어는 셸 스크립트에서 산술 연산을 수행하고 변수 값을 변경하는 데 사용된다. 주로 Bash 및 다른 셸 스크립트에서 사용된다. > 표현식 let arg \[arg ....\] 몇가지 연산자 ** : 제곱연산자 예시 다른 형태 주의사항 let 명
리눅스 시스템에서 새로운 유저를 만드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위의 예시코드는 /home 디렉토리 아래 홈 디렉토리를 만들고 쉘은 /bin 폴더아래 bash를 사용하는 ace라는 이름을 가진 유저를 만든다.\*유저를 만들기 위해서는 루트 권한이 있어야 한다.현재 로그인한 사용
리눅스는 NOS(Network Operating System)이며 여러사람이 사용하므로 권한의 관리가 필요하다.1번 파일은 소유자는 읽기/쓰기 가 되지만 실행은 못함1번 파일은 같은 그룹은 읽기만 가능1번 파일은 소유자/같은 그룹이 아닌경우 읽기만 가능2번 폴더는 소유
umask unix나 linux 시스템에서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기본 권한을 제어하는 중요한 시스템 설정. 새로운 파일 및 디렉토리가 형성될 때 권한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보통 3자리의 8진수로 표현되며 첫번째 자리는 소유자의 권한, 두번째 자리는 그룹의 권한,세
디스크 사용량을 보고하는 명령어du \[OPTION]... \[FILE]...심볼릭 링크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파일. 심볼릭 링크는 다른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대한 참조를 의미한다.디스크 여유 공간 및 사용량을 보고하는 데 사용"Disk Free"의 약자index
해당 셸 세션의 동작방식을 수정하거나 특정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한다일반적으로 셸 스크립트나 상호작용하는 셸 환경에서 사용다른 언어의 지역변수를 설정하는것과 비슷하다.명령어 구조set \[-abefhkmnptuvxBCHP] \[-o option-name] \[--
/etc/profile을 읽음/etc/profile.d/ 아래에 있는 .sh,.local파일들을 읽음 (어떤 사용자든 공통 적용되는 설정들)~/.bash_profile,~/.bashrc를 읽어옴4.3번 파일들과 연결된 /etc/bashrc 폴더의 공통 배쉬 속성을 읽어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설정된 변수는 현재 쉘과 자식 쉘에도 사용할 수 있다.함수를 export 할때는 f 옵션을 준다.A는 100으로 설정,B는 export를 이용해서 500으로 설정함A는 env 파일에 보이지 않지만 export한 B는 보이는 것을 알 수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텍스트 파일각 줄마다 하나의 사용자를 나타낸다. 각 사용자의 계정 정보는 콜론(:)으로 구분된 여러 필드로 구성일반적으로 보안을 위해 루트 사용자만 접근 가능각 필드의 의미ace:x:1000:1000::/home/ace:/
지정된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미리 정의 되어서 셸의 문법에 사용되는 특별한 단어현재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어, 함수, 변수 등의 목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옵션|설명|\|:-:\|-\||c|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출력||k|정의 되어있는 키워드 출
명령어 뒤에 & 을 붙이면 백그라운드에서 처리 가능하다현재 셸 세션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작업 목록을 표시한다.jobs에서 프로세스 번호 뒤에 붙은 "+" 기호는 인자없이 fg,bg 명령어를 입력했을때 디폴트로 적용되는 작업임을 의미하고 "-" 기호는 디폴트 작
리눅스의 매뉴얼의 다양한 괄호와 기호들은 해당 명령어의 사용법을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대괄호는 해당 옵션이나 인자가 선택적(optional)이라는 것을 의미한다(command 뒤에 option은 써도되고 쓰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꺾쇠 괄호는 필수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