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입출력
| 이름 | 파일디스크럽터 번호* | 매체 |
|---|
| stdout(표준출력) | 1 | 모니터 |
| stdin(표준입력) | 0 | 키보드 |
| stderr(표준에러) | 2 | 모니터 |
- 파일 디스크럽터는 Unix와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 파일이나 I/O장치와의 상호작용을 추상화 하는데 사용되는 정수이다.
who 1> w1 (파일 디스크립터 1(표준출력)을 명시함)
cat 0< c1 (파일 디스크립터 0(표준입력)을 명시함)
hahaha 2> e3(파일 디스크립터 2(표준에러)를 명시하여 에러메시지를 저장함)
- cal > c1
- 여기서 꺾쇠는 출력 위치를 표준 출력(stdout)이 아닌 파일로 변경한다는 의미이다(rediect)
- who >> c1
- 여기서 꺾쇠 2개도 똑같이 출력위치를 변환하지만 파일을 덮어쓰지 않고 추가하는 차이점이 있다.
- cat < c1 입력 리다이렉션.
here document
- 스크립트나 명령어에 다중라인의 입력을 지원받는 방법중에 하나
command << Delimeter > file_name
...
...
...
Delimiter
- command : 표준출력을 해줄 명령어
- delimeter : 파일 마지막을 알려주기위한 문자열
- file_name : 저장할 파일 이름
- delimeter 는 어떤 문자도 상관없지만 일반적으로 EOF(end of file) 이거나 END를 사용한다.
touch
- 새로운 파일을 만들거나 파일의 타임스탬프를 수정하는 명령어
- t옵션을 주면 타임스탬프를 특정 시간으로 변경 가능하다
- touch -t 05201240 file_name : 05월20일12시40분으로 시간을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