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와 통신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상태에 따라 화면에 렌더링되는 훅 생성AbortController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웹 요청을 취소할 수 있게 해준다.AbortController와 그것의 signal은 웹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기능으로, 네트워크 요청이나 다른
리버스 후 맵을 하면 될 줄 알았더니 이상한 결과가 나왔?다 리약트에서는 같은 원본을 파고ㅣ 하는 문법을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의 구성
mount 안에서 render()를 사용할 때 this를 써줘야 한다.스코프에 의해 그냥 사용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왜 그런지 궁금해졌다.render 함수가 객체 안에 있기 때문에 render는 인스턴스 메소드이다.인스턴스 메소드는 this를 써야지만 접근이 가능하
의문점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방법론은 유지보수와 코드 재사용성이 용이하다고 배운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수업 중 명령형 프로그래밍의 단점에서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이 떨어진다는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선언형 프로그래밍이 객체지향 프로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JS - Imperative React - Declarative 명령형 프로그래밍 (Imperative) 명령형 프로그래밍에서는 코드가 일련의 단계적인 명령으로 작성되며, 컴퓨터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정확한 작업 순서를 프로그래머가
타입스크립트 는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하지만(전문용어로는 슈퍼셋, 합집합), 자바스크립트는 타입스크립트와 호환이 되지 않는다.그래서 타입스크립트 컴파일러를 사용해서 자바스크립트로 번역(=컴파일)해야 사용할 수 있다.ts-node 는 타입스크립트를 해석할 수 있는 node.
23.7.25 ajax 모든 웹은 다 동기적으로 작동한다. sync (동기) '직렬적'으로 작동하는 방식을 말한다. >ex) 우리가 무수히 쌓인 메일함에서 2페이지에 있는 메일들을 보고싶은 상황이다. header - 사용자 정보 - 메일목록 - footer로 구성되어
영화 포스터 갤러리 리드미엘리멘탈 포스터 갤러리는 사용자가 클릭한 영화에 해당하는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는 간단한 웹 페이지입니다. 사용자가 각 캐릭터 포스터를 클릭하면 해당 캐릭터의 이름이 페이지 상단에 표시되며, 배경색도 해당 캐릭터의 대표 색상으로 변경됩니다.사용자
좋은 방법은 아님 가독성이 떨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짐제일 큰 이슈: 여러 개의 이벤트를 넣을 수 없고 단 하나의 이벤트만 들어감 하나의 함수만 실행할 수 있음onclick은 지양!! 속성으로 넣는 것은 실행 시켜줘야 하고 프로퍼티로 넣는건 실행 시키지 않아도 됨두 개
arrayMethod Array.isArray 기존에 사용하던 typeof는 언어가 가지는 오류 때문에 널이나 배열의 타입을 알 수 없었다. 그래서 Array.isArray이 나왔는데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배열의 타입을 알아낼 수 있었다. 하지만 Null은 타입을 알
📌class extents에 컨스트럭터를 바꾸지 않으면 super 없어도 되나요? 답변 : yes static 키워드가 붙은 메서드는 클래스 자체에 속하는 정적 메서드입니다. 정적 메서드는 인스턴스 객체에서 직접 호출할 수 없으며, 클래스명을 통해 호출해야 합니
자바스크립트 첫 과제를 진행하는데 버튼을 눌렀을 때 입력받은 input 값과 user의 값이 일치하면 다음 페이지로 넘어가게 하는 기능을 구현하는데 웹 서버에서 요청된 URL에 대해 HTTP 메서드를 허용하지 않을 때 발생 하는 405 에러가 발생했다. 문제 발생 처
함수가 전역으로 선언되고 global excution context 내부의 binding object로 올라가면 function object가 생성된다 그 안에서, environment record -> this Binding -> literal로 올라간다 이렇게
✅ 어떤게 더 좋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보통 함수 선언문을 사용하고 콜백함수를 만들 때는 함수 표현식 중 화살표 함수를 많이 사용한다.arguments는 JS 함수 내부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객체이다. 이 객체에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argument)를 포함하고 있다.a
📌nodeType text, comment, span 같은 것들을 노드라고 하는데 노드는 가장 작은 단위이다. 노드는 타입이 존재 하는데 그 타입은 다음과 같다. html태그를 엘리먼트라고 한다 > - ⭐ ELEMENTNODE (1): HTML 요소(태그)를 나타내
문은 값을 뱉지 않지만 식은값을 내뱉는다🤤 단락 평가OR||은 왼쪽부터 시작해서 오른쪽으로 평가를 진행하는데, truthy를 만나면 나머지 값들은 건드리지 않은 채 평가를 멈춘다. 이런 프로세스를 단락 평가라고 한다. 단락 평가의 동작 방식은 두 번째 피연산자가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