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v. 1 - 콜라 문제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빈 병 a
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
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
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
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 빈 병 a
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
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b
< a
≤ n
≤ 1,000,000a | b | n | result |
---|---|---|---|
2 | 1 | 20 | 19 |
3 | 1 | 20 | 9 |
입출력 예 #1
입출력 예 #2
단순히 반복문을 통해서 교환할 수 있는 병의 개수보다 적게 남을때까지 다음을 반복하였습니다.
- 현재 병 개수로 교환할 수 있는 병의 개수를 구합니다.
- 교환한 이후의 남은 병 개수와 교환한 병의 개수를 더합니다.
- 교환한 병의 개수를 결과값에 더합니다.
function solution(a, b, n) {
let cola = 0;
while(n >= a) {
let cur = Math.floor(n / a) * b;
n = n % a + cur;
cola += cur;
}
return cola;
}
간단하게 반복문으로 해결했지만, 이보다 훨씬 간단한 풀이를 발견하였습니다.
solution = (a, b, n) => Math.floor(Math.max(n - b, 0) / (a - b)) * b
우선 우리가 구해야 할 값이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봅시다. 교환한 병의 총 개수를 구하는 것입니다. 즉, 교환 가능한 전체 횟수만 알면, 해당 횟수에 교환 시에 지급하는 병의 개수를 곱해주면 됩니다.
1회 교환시에 a
만큼의 병이 사라지고, 다시 b
만큼의 병이 추가됩니다. 즉, 교환 가능한 개수는 a - b
로 나눈 몫을 내림한 값이 됩니다.
단, 주는 병수보다 적게 남은 경우는 인정하지 않으므로, 이를 위해서 초기 n
의 값에 b
를 빼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