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네트워크 03.Transport layer-2

파이 ఇ·2025년 1월 6일
1
post-thumbnail

Connection-oriented transport : TCP

아래는 TCP의 특징이다.

point-to-point : one sender, one receiver
reliable, in-order byte stream : 신뢰할 수 있고, 순차적인 바이트 스트림
pipeline : window size를 가변적으로 설정(congestion과 flow control을 고려)
send & receiver buffers : 전송, 수신 버퍼 존재
full duplex data : 양방향 데이터 통신
connections-oriented : 데이터 통신이 일어나기 전에 3-way-handshake를 통해 connection을 맺는다.
flow control : receiver 혹은 네트워크가 받아들일 수 있는 만큼 전달(둘 중 최소값을 따른다)

TCP segement structure

  • source port#, dest port# : 포트번호 하나에 16bit씩 쓰기 때문에 0 ~ (2^16-1)개의 포트번호 사용 가능
  • sequence number : 중복된 메세지인지 확인을 위해 패킷에 대한 넘버링
  • checksum : error가 있었는지 판단함
  • receiver window : 지금 receiver buffer에 얼만큼의 공간이 남았는지 알려줌
  • timeout
    • RTT(Round Trip Time = 패킷 왕복 시간)은 패킷을 보낼 때 마다 편차가 크기 때문에(= 큐잉 딜레이) 종합적으로 판단

TCP reliable data transfer

  • TCP는 pipeline 방식이다.
  • TCP는 Cumulative ack 방식을 사용한다.
    • ACK(n)이 오면 ACK(n-1)번까지 잘 받았고, ACK(n)번을 기다리고 있다는 의미.
  • TCP는 timer를 한개만 사용한다.
    • 어떤 segment에 대한 timeout이 발생하면 해당하는 segment만 재전송한다.
profile
⋆。゚★⋆⁺₊⋆ ゚☾ ゚。⋆ ☁︎。₊⋆

0개의 댓글